요약
이 글은 긍정과 도전의 두 정신을 아산정신의 주요소로 이해하고 2장과 3장에서 각각의 정신에 대한 아산의 독창적인 일면을 밝혔으며, 이러한 정신을 가능하게 한 토대로서 통합적인 사유의 원리를 4장에서 고찰했다.
아산은 필연적으로 맞닥트릴 수밖에 없는 삶의 여러 고난들이 현재를 혁신하고 새로운 세계를 오게 하는 토대이며, 미래를 여는 창조적 계기로서 ‘참된 지식’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해결 불가능해 보이는 삶의 고난과 실패의 경험이 ‘곧’ 어려움을 이겨나가게 하는 힘이자 지혜라는 이 역설적 인식으로부터 아산의 긍정적 정신이 발현한다.
그가 현재의 고난으로부터 미래를 창조하는 실천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었던 것은 삶의 다원성을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삶의 어떤 사건에는 좋은 면과 나쁜 면이 공존하고 있으며, 이 ‘좋음/나쁨’의 양면은 사람의 마음가짐과 실천적 노력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 이 인식이 궂은 일이면 궂은 대로 좋은 일이면 좋은 대로 삶을 긍정하게 한다.
아산다운 도전 정신의 가치는 ‘부유한 노동자’라고 하는 정체성을 통해 드러난다. 여기서 ‘부유한’이라는 형용사는 자신이 세운 뜻을 성취하기 위해 노력하는 마음, 혹은 역동적인 도전의 과정에서 오는 창조적 기쁨을 의미한다. ‘노동’은 자아의 본성에 내재한 무한의 가능성을 실현하는 삶의 과정을 의미한다. 아산이 굳이 자본가로서의 정체성을 부정하고 ‘부유한 노동자’라는 정체성을 정립하고자 노력한 것은 무한한 가능성으로서 인간의 본질을 온몸으로 실천해온 사실을 강조하고자 한 까닭이다.
그런 의미에서 아산의 전 생애를 관통하는 도전 정신은 이 기쁨의 노동을 통해 인간의 삶을 근본적인 차원으로 고양시키고자 하는 실천적 마음을 뜻한다. 그것은 장사를 통해 자본을 증식하고 기업을 확장하려는 자본주의적 욕망이나 어떻게든 성공하려는 단순한 마음가짐의 수준을 넘어 인간에게 내재된 무한으로서의 본질을 ‘경영’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치열한 정신이다.
본고는 이러한 아산정신이 한국적인 무한의 이념과 맞닿아 있다고 생각한다. 아산정신은 제3의 무한으로서 이항대립적인 관계로 분할된 양극의 요소들 사이에서 숨겨진 연속성을 파악하고 단절적 분리를 뛰어넘는 인간의 창조적 가능성에 대한 확신에서 비롯한다. 이러한 시각에서야 비로소 삶은 ‘성공/실패’ 어디에도 속하지 않고 끊임없이 한계를 극복해가는 시련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시련을 인간의 내적인 본질로 긍정함으로써 삶을 도전의 과정으로 향유하고자 한 아산의 마음가짐을 본고는 ‘흥의 정신’으로 규정하고자 했다. 이 정신은 단순히 어떤 사태를 낙관(긍정)하고 무작정 도전하는 낭만적 기질을 뜻한다기보다는 자기 내면에 잠재한 ‘무한’의 본질을 깨닫고 고난의 이면에 숨은 성장의 계기를 파악함으로써 새로운 세계를 이끌어내는 창조적 즐거움을 의미한다.
핵심어: 아산, 정주영, 아산정신, 긍정, 도전, 무한, 흥
목차
Ⅰ. 서론
Ⅱ. 세계의 다원성에 대한 인식과 역설적 사유: 긍정
Ⅲ. 노동자로서의 정체성과 인간다움의 실현: 도전
Ⅳ. 한국사람다움으로서 무한의 이념과 흥의 정신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