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을 주도한 박정희, 이병철, 정주영 세 사람을 통해서 미래형 인재, 비전적인 리더의 조건이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박정희, 이병철, 정주영 같은 리더들이 ‘우리도 잘 살 수 있다’라는 비전을 불어넣어주었으며, 그로 인해 우리가 노력하였고 지금은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단계까지 성장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특히 정주영은 절대 불가능한 환경 속에서 1960년대 중동 건설 시장 진출, 경부고속도로 건설, 조선소 시설도 없이 26만 톤급 선박 수주, 독자 자동차 모델 생간 등 수많은 사례를 통해 국민들에게 ‘불가능은 없다’, ‘우리도 정주영처럼 노력하면 위대한 일을 해낼 수 있다’라는 비전을 제시해주었다. 정주영은 틀림없는 ‘비전적 리더’였던 것이다.
그렇다면 정주영이 보여준 리더의 조건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우선 책에서 제시하는 비전적 리더는 반듯한 사람이어야 한다. 반듯함은 도덕적 무결점을 말하는 것뿐만 아니라 신뢰성도 포함하는 것이다. 정주영은 신뢰성이야말로 가장 확실한 담보라는 것을 증명한 사람이다. 정주영이 남다른 성실함으로 주인에게 인정받고, 주인의 아들을 제치고 북흥 상회라는 쌀가게를 물려받을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그가 믿을만한 사람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자동차 정비 공장을 하게 된 것, 그리고 화재로 인한 파산 위기에서 돈을 빌려 다시 일어설 수 있었던 것은 모두 정주영이 그만큼 신뢰할 만한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이후 건설업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도 그는 적자를 보는 한이 있어도 약속한 공사를 완성하는 등 신뢰성을 바탕으로 기업을 경영해 왔다.
리더가 지녀야 할 다음 조건은 바로 스피드이다. 스피드는 곧 빠른 판단력을 말하는 것이다. 스피드 경영은 짧은 시간 안에 준비가 불충분한 상황에서 무엇인가를 결정하고 집행한다는 의미이다. 정주영은 이러한 점에서 스피드와 창의성을 보여준 리더이다. 정주영은 경부고속도로 건설을 끝내고 새로운 일거리를 찾다가 조선소를 지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였다.
1976년 주베일 항만공사는 그의 남다른 결단력을 보여준 중요한 사례이다. 공학자들을 비롯한 여러 전문가들이 적은 자금과 공사 여건을 들어 불가능하다고 했지만, 정주영은 공사에 필요한 철 구조물을 울산에서 직접 제작하여 배에 실어 주베일까지 19차례에 걸쳐 운반하는데 성공하였다. 당시 정주영의 참모들이 운반선이 파도에 전복되기라도 하면 사업이 망할 수도 있다고 말렸지만, 그는 “필요 없어. 바지선이 빠지면 보험이 건져 줄 거야, 뭐야. 제때 나오지도 않는 보험금, 조사니 측량이니 시간만 질질 끌 텐데 그럴 시간이 어딨어. 지금 우리에겐 시간이 돈이야.”라고 대답했을 뿐이다. 또한 정주영의 빠른 판단은 누구도 상상하지 못할 창의적 발상이 따르고 있었던 것이다.
더불어 리더에게는 직관적 예지력이 중요하다. 현대가 말하는 ‘창조적 예지’는 ‘미래지향적인 사고로 고객 및 사회가 원하는 바에 부응하기 위하여 항상 새롭고 신선함을 추구하는 지혜’이다. 1977년 드러커 박사는 정주영을 만난 후 그를 ‘많은 불확실성과 위험요소들 가운데서도 예지력을 가지고 사업 기회를 간파하고, 이를 강력히 실천하는 이론 이전의 직관력 같은 것을 가진 사람으로 평가하였다. 훌륭한 리더는 직관과 합리적 사고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그리고 리더는 변화를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즉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가 필요한 것이다. 이는 곧 현대그룹의 끊임없는 실험과도 이어진다. 현대건설이 세계적인 건설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도 수많은 실험을 거쳤기 때문이다.
이 책은 박정희 대통령,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 삼성그룹의 이병철 회장 등 CEO를 대상으로 리더들의 성공 요인, 미래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필요한 리더들의 자질과 역할 등을 비전리더십으로 서술한 것이다.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전 리더십의 정의를 시작으로, 창의적 리더십, 성공적인 미래를 위한 리더십,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리더십을 이야기한다.
한국 리더들의 비전을 정주영 박정희, 이병철을 제시하며 각자의 비전에 대해 설명하고, 비전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을 같은 맥락으로 보고 서술하고 있다.
박정희, 이병철, 정주영 등의 리더들이 모든 조직원이 같이 비전을 이루고자 하는 변혁적 리더십을 주도하고 있으며, 요즘 시대에는 특히 창의성을 중요시하는 다시 말해, 많은 사람들이 보다 높은 차원의 욕구를 추구하는 리더십이 미래형 인재가 되는 원동력이라는 전제하에 쓰여진 책이라고 볼 수 있다. 높은 차원의 욕구추구를 매슬로의 욕구계층이론에 따라 우리나라, 삼성과 현대 그룹의 성장과정에 적용하였다. 매슬로 욕구 계층 5단계 중 가장 높은 단계인 자아실현단계에서 가장 높은 욕구를 사랑이라고 정의하며, 정주영, 박정희, 이병철 등의 리더들의 국민을 잘 살게 하고 싶다는, 우리나라를 선진국 대열에 올려놓고 싶다는 간절함을 사랑이라고 마무리하고 있다.
이 책은 비전리더십을 욕구계층이론, 용기와 반듯함(신뢰, 정직 등), 스피드와 창의성, 변화, 혁신 등으로 설명하며, 예시로 정주영, 박정희, 이병철의 이야기를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피터, GE글로벌 러닝센터 등의 다양한 사례들도 제시하고 있다. 정주영, 박정희, 이병철을 비전리더십의 한 예로 서술하고 있지만, 『박정희 vs 정주영 vs 이병철』이 책 타이틀로 제시 될 필요가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드는 자료이다. 지금까지 정주영과 리더십에 대한 책들은 많이 출판되었지만, 기존의 관점과는 다른 새로운 리더십의 관점, 즉 비전리더십과 정주영을 살펴본 자료로 의미가 있다.
책머리에 = 7
01. 비전 리더십의 정의
비전, 기적의 드라마 = 18
학습하면서 성장한 한국 = 20
비전은 생명을 주는 피이다 = 21
리더의 힘 = 24
리더의 비전 = 27
비전의 정의 = 28
한국 리더들의 비전 = 31
비전의 중요성 = 37
변혁적 리더십 = 39
비전적 리더의 욕구와 동기 = 44
경영학은 쓸데없는 학문인가 = 47
리더들의 성격 = 51
성공한 리더는 자아실현욕구 추구자이다 = 55
성공한 리더는 더불어 성장을 원한다 = 57
아브라함 매슬로의 욕구계층이론 = 60
창의적인 사람은 내적동기 추구자이다 = 103
세상은 내적동기요인 추구자를 찾는다 = 104
02. 창조와 혁신의 리더십
용기와 반듯함 = 114
비전적 리더는 용기 있는 사람이다 = 115
비전적 리더는 반듯한 사람이다 = 118
스피드 경영 = 130
빠른 것이 느린 것을 잡아먹는다 = 131
신속한 경영 = 136
스피드는 강력한 에너지이다 = 137
스피드는 창의성이다 = 140
스피드는 미리미리 하는 것이다 = 144
스피드는 생존 경쟁이다 = 147
스피드의 위험성 = 152
스피드 경영의 참 의미 = 155
창의적 리더십 = 157
창의성의 정의 = 158
국가를 위해 죽을 수 있어도 삼성, 현대를 위핸 그럴 순 없다 = 160
애플은 해적의 소굴이고 스티브 잡스는 해적 두목이다 = 164
구글 - 빛의 속도로 달리는 가벼운 천재 = 170
한국 기업?하면 무엇이 생각나는가? = 178
일본의 장기 침체는 집단적 사고방식 때문이다 = 180
열린 시스템에서 창의성이 발휘된다 = 184
창의적 아이디어는 처음에는 무시당한다 = 188
직관적 예지의 중요성 = 195
창의성의 근원은 일에 대한 보람과 재미 = 201
니콜라 테슬라 - 세상은 이 천재를 더욱 주목하게 될 것이다! = 213
변화를 위한 리더십 = 227
실패를 각오하고 변화한다 = 229
문화 변화에 대한 저항 = 232
변화는 수고요 고통이다 = 233
변화의 기본은 겸손이다 = 235
비전적 리더는 정체를 경계한다 = 238
리더십은 혁신을 위한 것이다 = 241
03.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리더십
비전적 리더와 미래 비전의 공유 = 250
비전을 가진 리더는 조직원의 성장을 기뻐한다 = 252
비전적 리더는 위험에 맞서라고 말한다 = 254
리더는 혁신의 DNA를 배양하지 않으면 안 된다 = 257
조직의 학습화 = 261
피터 셍게의 제5경영 = 266
GE 글로벌 러닝 센터 = 272
환경 리더십 = 292
성공적인 미래를 위한 리더십 = 301
리더는 무식하게 몸으로 실천하는 사람이다 = 303
논문을 써야 한다. 아무리 형편없는 것일지라도… = 305
리더는 높은 수준의 도덕윤리 수준을 갖추어야 한다 = 305
성공한 리더의 방정식은 단순하다 = 308
성공적인 조직의 방정식은 단순하다 = 311
우린 끝까지 비전을 붙들어야 한다 = 313
참고문헌 =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