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기업들의 경영사례에 대해 연구한 책이다. 책 내용 중에서는 한국기업의 성공 및 실패사례와 관련하여 정주영 회장과 현대를 다루고 있다.
우선 아산(峨山)은 기본적으로 창조적 예지를 발휘해왔다. 창조적 예지란 미래지향적 사고와 관련된 개념인데 현대 그룹의 발전은 이것을 토대로 이뤄진 것이라 본다. 또 아산의 대표정신이라고 하면 적극적인 의지와 강인한 추진력인데 이것은 오늘날 현대 그룹의 기업정신으로 부각되었다. 특히 현대 그룹이 시공한 공사 중에는 강인한 추진력이 돋보이는 공사가 아주 많다. 당제터널 공사가 대표적이다.
아산의 경영이념으로 먼저 근검절약주의가 있다. 한국재벌 중에서 이 근검절약주의의 1인자라 할 만큼 아산을 따를 자가 없다고 한다. 이는 영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났던 요만리(Yeomanry) 정신과도 같은 것이다. 아산은 요만정신이라 할 수 있는 청교도의 개척정신과 철저한 근검절약의 기풍을 존경하였다고 한다.
‘인간존중과 사원들의 자기실현’은 현대의 경영이념 제2조이다. 그 일환으로써 사원복지를 최우선으로 한다. 백년지계(百年之計)는 사람을 기르는 일이라는 동양의 사상을 상기해볼 때 국가와 기업의 장래가 모두 사람에게 달려있다는 정신을 현대 성장의 원동력으로 삼았다.
아산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정직을 무기로 한 신용이라 술회하였다. 그런 것을 잘 나타내주는 것이 바로 고령교 공사이다. 이는 이후 사우디 주베일 산업항 공사, 세계 최대 조선소를 세우는 등 각종 해외건설시장 개척의 척도가 되었다.
현대의 경영이념 제4조는 고객 최우선 정신이다. 아산은 사업의 존재 근거는 고객에게 있으므로 고객이 그 어떤 것보다 우선하는 고객중심 경영을 일찍이 터득하였다.
경영이념 중 오늘의 현대를 있게 한 경영사상은 바로 창의와 기술주의로서 항상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정신이다. 기술경쟁력과 새 분야의 개척은 기업 발전은 물론이고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된다는 신념을 항상 가지고 있다.
아산은 현대를 이끌어 오면서 시련이 오히려 스스로를 강하게 한다는 신념을 갖게 되었다. 정 회장은 이 같은 적극적 의지로 점철되어 왔다. 1970년대 기업경영은 그야말로 질풍노도 속에 흔들리는 배와 같았다. 기업은 대형화, 고도화, 국제화를 맞으면서 성장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반작용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아산은 경영이념 중 노사화합을 경영의 제일주의로 하는 산업평화주의 기업가이다. 현대는 노조가 생긴 이후 파업과 타협의 진통을 수없이 겪으면서 노사화합의 길에 이르렀다. 그는 말하기를 “노사는 적대의 관계가 아니라 한솥밥을 먹는 가족의 입장이라고 하면서 비 온 후의 땅이 더욱 굳어지듯 종업원을 아낀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업보국주의이다. 아산은 50년 동안 국익사상과 사업보국주의로 살아왔으며, 현대의 성장은 나라의 국익에 보탬이 되고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사업은 현대가 도전하고 개척을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러한 정주영의 경영 정신은 발전은 도전적이고 긍정적인 사고에서 비롯된다는 것, 또 논리와 지시보다 행동과 실천, 현장을 중시하는 현장주의 정신, 그만의 기업가정신과 같은 유산을 남긴 것이다.
『경영지도 : 경영사례연구』의 저자는 머리말에서 경영학 사례연구에 입문하는 대학생이나 대학원생을 위한 교재로서 이 책을 만들었고, 여기에 보다 풍부한 내용을 담아 경영 전략 이론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고 밝히고 있다. 집필목적과 주요 내용이 소개가 된 셈이다.
책은 총 4편으로 되어 있다. 제1편은 「경영사례 연구의 기초」로 연구 방법론과 경영사례의 의의에 대해서 정리하고 있다. 제2편은 「경영지도」로 기업운영에서 부실기업이 탄생하는 원인을 여러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제3편은 「경영진단」으로 인사관리 및 경영지도의 여러 부문에 대해 각각의 진단과 관리 내용에 대해서 정리하고 있다. 1편에서 3편까지는 주로 경영사례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이론을 정리하고, 4편부터는 실제 경영사례 연구 내용을 싣고 있다. 1장부터 5장까지는 한국기업의 성공 및 실패사례부터, 벤처기업, 유통부문, 외국기업, 지방자치단체의 경영사례나 성공 및 실패사례를 정리하였다. 6장과 7장에서는 기업경영의 실패와 성공 사례를 각각 제시하면서 그 원인과 의미 등을 분석하고 있다.
정주영과 관련해서는 제4편 1장 ‘한국기업의 성공 및 실패사례’에서 ‘아산의 경영이념’ 관련 내용들이 우선 언급되고, 7장 ‘기업경영의 성공사례’에서 ‘기업가 정주영이 남긴 유산’에서 정주영에 대한 평가가 서술되고 있다. ‘아산의 경영이념’ 부분에서는 오늘날 현대정신으로 자주 거론되는 창조적 예지, 적극적 의지, 강인한 추진력이 어떤 것인지 실제 현대 그룹이 진행했던 사업을 예시로 해서 먼저 소개되고 있다.
다음으로 아산의 경영이념으로 근검절약주의, 인간존중주의, 신용제일주의, 고객만족주의, 기술주의, 신념주의, 산업평화주의, 도전과 개척주의, 사업보국주의를 들고, 역시 정주영과 관련된 일화를 중심으로 이러한 경영이념들을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 소개된 사업이나 관련 일화는 이미 여러 곳에서 언급된 것으로 색다른 분석이나 내용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산업평화주의에서 노조에 대한 정주영의 태도가 짧게나마 설명이 되고 있는 것이 눈길을 끈다. 전체적으로 내용이 대단히 평이해서 연구자료로서의 활용가치는 높지 않은 것 같다. 그리고 『성공한 창업자의 기업가정신 : 세계를 움직인 경영자들(개정3판)』(삼영사, 2007)의 제8장 「정주영의 생애와 기업가정신」의 제2절인 정주영의 기업가정신 부분과 정리된 형식과 단어 몇 개에서 차이가 있을 뿐 그 내용 자체가 완벽히 일치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고려가 필요하다. 책만으로는 어느 책이 상대의 책을 참고로 한 것인지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앞부분 보다는 오히려 7장에서 ‘기업가 정주영이 남긴 유산’ 부분이 좀 더 연구에는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다.
저자는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일이 기업가의 몫이고, 그러한 모험정신이 기업과 경제의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하면서, 정주영을 ‘기업가정신의 화신’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 정주영의 정치 참여에 대해서도 정치경제시스템과 기업가와의 관계 속에서 해석을 시도하면서 흥미를 유발한다. 다만 정주영이 부분적으로 다뤄지다 보니 전체적으로 내용이 소략하고, 개설서로서 평이한 수준으로 서술되어 있어 아쉬움이 남는다.
제1편 경영사례 연구의 기초
제1장 경영학 교육 방법 및 경영사례 연구 = 13
제1절 경영학 교육 방법 및 연구 = 13
1. 교과서와 강의를 통한 교육 = 14
2. 경영게임과 역할연기를 이용한 교육 = 14
3. 사례토의를 통한 교육 = 15
4. 그룹 프로젝트 = 15
제2절 경영사례의 의의 = 16
1. 경영사례의 개념 = 16
2. 경영사례의 필요성 = 17
3. 경영사례의 효과 = 18
4. 장수기업 비결 = 20
제2편 경영지도
제1장 부실기업의 일반적 원인 = 25
제1절 기업운영과 기업적 질환 = 25
제2절 기업부실의 제원인 = 26
1. 경영외적 원인 = 27
2. 경영내적 원인 = 27
제2장 한국기업의 부실원인분석 = 32
제1절 기업의 일반적 부실원인 = 32
1. 과중한 타인자본 의존 = 33
2. 시설규모의 영세성 = 34
3. 경영능력의 빈곤 = 36
4. 기술수준의 저위 = 37
5. 시장의 협소 = 38
6. 원재료의 과중한 수입의존 = 38
7. 고금리 등 = 39
제3편 경영진단
제1장 인사관리부문 = 43
제1절 인사관리의 개념과 필요성 = 43
1. 개념 = 43
2. 필요성 = 43
제2절 인사관리의 발전 = 44
1. 인사관리론의 발전 = 44
2. 인사관리방식의 발전 = 45
제3절 인사관리의 진단방향과 검토대상 항목 = 46
1. 인사관리의 정책면 = 46
2. 인사관리의 비용면 = 47
3. 인사관리의 효과면 = 47
제4절 인사관리에 대한 진단요령 = 48
1. 노동생산성의 분석검토 = 48
2. 노동이직률의 검토 = 49
3. 임금의 적정성 검토 = 50
4. 종업원 사기조사 = 51
제2장 경영진단 종합관리부문 = 56
제1절 종합관리부문진단의 의의 = 56
제2절 종합관리부문 진단요령 = 57
1. 경영자 진단 = 57
2. 경영방침 진단 = 59
3. 경영계획진단 = 63
4. 경영조직의 진단 = 64
제3장 경영종합지도와 재무부문진단 = 68
제1절 경영지도의 의의와 목적 = 68
1. 경영지도의 의의 = 68
2. 경영지도의 목적 = 69
제2절 경영지도의 진행순서 및 지도상의 애로 = 70
1. 경영지도의 진행순서 = 70
2. 경영지도에 수반되는 문제점 = 7
제3절 경영지도의 연구과제 = 71
1. 종합관리부문 = 71
2. 생산관리부문 = 71
3. 노무관리부문 = 71
4. 판매관리부문 = 72
5. 구매관리부문 = 72
6. 재무관리부문 = 72
제4편 경영사례 연구
제1장 한국기업의 성공 및 실패사례 = 75
1. 아산(峨山)의 경영이념(經營理念) = 75
2. 금성사의 성공적인 변신 = 89
3. SK건설 비즈니스사례 = 92
4. 동아건설(株) 리비아 대수로(大水路) 공사 성공 = 97
5. 건설업체의 성공사례(청구주택) = 10
6. 삼성자동차의 실패사례 = 105
7. 한솔포렘(주) = 107
8. 무림제지 성공사례 = 109
9. 장난감 대여사업의 성공사례 = 111
10. 오직 오기 하나로 타이드림 이룬 박윤씨 = 113
11. 전단(E플렛)이 성공하는 이유 = 116
12. (주)로만손의 성공사례 = 118
13. 투자 성공 사례(삼한화섬) = 128
14. 벤처 기업의 성공사례 = 129
15. 6시그마 LG화학 경영혁명 = 139
16. 시스템 컨설팅의 성공사례 = 141
17. (주)서영의 성공사례 = 143
18. 냉면집 열고 재기한 여만철 가족 = 146
19. 성공한 기업사례 삼성 = 150
제2장 벤처기업의 성공 및 실패사례 = 152
1. 벤처기업가로 나선 서울대 이면우 교수 = 152
2. 인터넷 신화일군 야후 = 157
3. 닷컴기업의 실패와 성공사례 = 163
4. 새롬기술의 성공사례 = 171
5. 인터넷 비즈니스 성공사례 = 181
6. 기아 자동차의 텔레마케팅 Speed Call = 189
7. 시스코 네트워크 솔루션 성공사례 = 19
8. 인간승리 이수광 회장(공인회계사) = 196
제3장 유통부문의 경영사례 = 197
1. 신유통업태 창출에 성공한 농협유통 = 197
2. 음료시장에서 독자 카테고리 형성을 통한 솔의 눈 = 200
3. 국내 최초 수퍼용 기능성화장품 데이시스 = 204
4. 제일제당, LG, 한화의 CI사례 = 207
5. E마트의 성공비결 = 210
6. 공동브랜드 성공비결 = 220
7. (주)레고코리아 성공비결 = 222
8. 제일제당 식물나라 = 22
9. 태창철강 주식회사 = 237
10. (주)비락의 경영성공사례 = 242
11. 벤처창업 실패사례 = 246
12. 교촌 F & B(주) 권원강 사장 = 248
제4장 외국기업의 성공사례 및 실패사례 = 250
1. 세계 인터넷 비즈니스 업체들의 성공사례 = 250
2. 소니사의 성공 = 254
3. 위기 극복한 월드 디즈니 = 258
4. 스포츠 브랜드의 선두주자 나이키의 성공전략 = 260
5. 품질 경영으로 세계화 이룬 도요타 = 267
6. 햄버거로 세계 정복한 맥도날드 성공신화 = 271
7. 세븐 일레븐 저팬(POS시스템 구축) = 283
8. 제록스의 경영사례 = 28
9. 실패에서 배운다 - K마트의 몰락과 월마트의 성공 = 290
제5장 지방자치단체의 성공사례 = 299
1. 디지털구정 추진으로 첨단도시 인토피아 달서건설(황대현 청장) = 299
2. 쓰레기봉투 자체제작 보급(대구 남구청) = 306
제6장 기업 경영 실패사례 = 308
1. 대우의 경영실패 원인 = 308
2. (주)우방의 실패사례 분석 = 312
제7장 기업 경영 성공사례 = 317
1. 쌍용의 기업 성공사례 = 317
2. 기업가 정주영이 남긴 유산 = 339
3. 정문술 사장과 미래산업 = 341
4. (주)한글과컴퓨터 성공사례 = 344
5. 현대자동차 인도 법인의 성공사례 = 350
6. 김치 냉장고 돌풍 이뤄낸 작은 거인 = 359
7. 무너진 벤처신화 메디슨 = 366
8. 씨티뱅크의 지식경영 성공사례 = 368
9. 성공한 시멕스(Cemex) 기업사례 = 370
10. 소니의 성공사례 = 372
11. 3M = 375
12. 엑스넷 = 38
13. 인천 남동공단 (주)SPG = 387
참고문헌 = 389
찾아보기 =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