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아산리더십연구원

현재 페이지 위치

홈 대메뉴아산아카이브즈 중메뉴도서자료실

도서자료실

209.창발경영.jpg

창발경영(한국경제의 새로운 성공 DNA)
  • 분류 : 기업·경영
  • 서명 : 창발경영(한국경제의 새로운 성공 DNA)
  • 저자 : 이장우
  • 출판사 : 21세기 북스  
  • 출판년도 : 2015
  • 등록번호 : AEM000451, AEM000452
  • ISBN : 9788950957278
  • 도서이용정보 : 대출가능
내용

 

해설

 

목차

책 발간에 부쳐 = 4

서문 : 대한민국, 속도 경영을 넘어 창발성 시대로 = 16

PART 1 한국식 속도 경영

01 신바람 경영
하면 된다가 한강의 기적을 만들어냈다 = 29

현대 정주영 신화 = 31

신바람 경영의 전범(典範) = 31

정주영의 철학적 바탕과 신바람 = 34

신바람 경영이 만든 현대의 혁신 모멘텀 = 38

삼성 이병철 신화 = 42

유학(儒學)과 신바람 = 42

삼성의 신바람 경영 = 45

신바람 경영이 만든 삼성의 경영혁신 = 47

반복되는 성공 패턴 = 52

잘 살아보세와 신바람 = 55

신바람 유감 = 63

신바람 경영의 틀 = 65

1단계: 공존공생의 조직 질서 구축 = 66

2단계: 자율과 경쟁 = 68

3단계: 자발성과 창의성 고취 = 71

4단계: 정확하고 공정한 보상 = 73

02 융합 경영
정보화 시대는 스피드가 경쟁력 = 77

삼성의 스피드 경영 = 81

신속하고 과감한 투자 결정 = 83

동시공학의 제품 개발 = 84

수직적 계열화와 경쟁 = 84

위기의식의 실행 조직과 실시간 정보 제공 = 86

삼성의 융합 경영 = 86

삼성 신경영의 중요성 = 88

현대자동차의 기술 융합 = 91

기술 융ㆍ복합에 대한 대응 = 93

IT 융합 = 97

현대자동차의 융합 경영 = 98

역설과 상생의 논리에 기반을 둔 융합 경영 = 102

학습주의와 원효의 화쟁사상 = 102

한국인의 생활문화 = 104

울타리 안에서의 상생 협력 = 107

융합 경영의 틀 = 108

03 속도 경영의 특징과 한계
한국식 속도 경영의 진화 과정 = 114

속도 경영의 성과 = 118

속도 경영의 실체 = 124

속도 경영의 한계 : 붉은 여왕 경쟁의 세계 = 129

속도 경영이 가져다준 혜택과 부작용 = 131

PART 2 한국식 기업 경영의 평가와 미래

01 비판과 도전
한국식 기업 경영에 관한 비관적 견해 = 142

한국 기업의 도전 = 148

실패와 성공의 원인이 똑같다 = 150

오너 경영 = 150

다각화 = 151

기업 승계 = 152

성공 기업이 남다른 점 = 153

융합 경영의 등장 = 156

02 한국 기업들의 성공 패턴
성공이란 = 163

21세기 강소기업의 성공 = 166

차별화 원천을 조기에 확보했다 = 168

틈새시장에 남보다 먼저 진입했다(하면 된다의 Spirit) = 169

뛰어난 학습 능력으로 문제를 신속히 해결(문제 해결의 Speed) = 170

오너의 솔선수범 = 171

정부 지원책의 효과적 활용 = 172

강소기업들에서 발견한 성공 패턴 = 173

03 생태계 경쟁과 과제
점점 더 예측하기 어려워지는 성공 요인 = 177

새로운 경영 방식이 필요한 이유 = 181

생태계 전쟁과 전략 혁신 = 186

재벌 기업이 위험한 이유 = 195

04 한국 기업의 성공 패러다임과 미래 도전
기업가정신의 진화 = 204

한국식 기업 경영의 3가지 패러다임 = 207

신바람 경영 = 209

융합 경영 = 210

창발 경영 = 212

새로운 혁신 모멘텀을 위해서 = 216

성공 기업으로 가는 길 = 220

PART 3 새로운 혁신 패러다임, 창발 경영

01 창조경제에서의 도전
창발하는 인간의 힘 = 227

혁신과 조직화 = 232

피드 시대 이후의 세상 = 236

새로운 패러다임 = 240

소프트 경영으로 = 246

하면 된다와 빨리빨리에서 이룰 때까지 = 248

힐링(healing)에서 히팅(heating)으로 = 251

성공자의 마음 = 254

02 창발 경영이란
창발 경영의 원형으로서 강태공과 웅녀 이야기 = 263

LINE 이야기 = 267

한류 콘텐츠 이야기 : SM엔터테인먼트 사례 = 274

창발 경영의 사례들 = 285

네이버 = 286

카카오톡 = 287

구글과 페이스북 = 289

네스프레소 = 291

03 왜 창발 경영인가
창발 경영은 미래 패러다임 = 293

창조형 산업 생태계의 등장 = 295

다초점 사회로의 이동 = 301

더 위험한 세계로 몸을 던져야 하는 시대 = 304

04 창발 경영의 실천 프로세스
1단계: 뜻과 비전 세우기 = 310

2단계: 생존과 반복, 그리고 실패와의 동거 = 313

3단계: 절실함 속에서 기회의 인지 = 319

4단계: 기회의 창으로 진입과 재빠른 가치 창출 = 322

에필로그 : 1994년 데쟈뷰와 위기의 한국 경제 = 324

주석 =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