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위치



도서자료실
한국의 중화학 공업화 : 과정과 내용(Ⅱ)
- 분류 : 기업·경영
- 서명 : 한국의 중화학 공업화 : 과정과 내용(Ⅱ)
- 저자 : 박영구
- 출판사 : 해남
- 출판년도 : 2012
- 등록번호 : AEM000414
- ISBN : 9788962380484
- 도서이용정보 : 대출가능
내용
해설
목차
제6부 조직과 진행
제16장 중화학공업화 추진기구와 조직 = 3
1. 중화학공업화 관련 정부기구 = 3
1) 경제장관회의와 경제장관간담회 = 3
2) 청와대와 대통령비서실 = 6
2. 중화학공업화 추진기구와 조직 = 9
1) 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 = 9
2) 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기획단 = 19
3. 상공부의 역할확대와 조직개편 = 34
부록: 자료 = 41
제17장 중화학공업화선언과 위기 그리고 중화학공업화 1973∼1976 = 51
1. 중화학공업화선언과 환경정비, 1973 = 51
1) 중화학공업화선언과 기구, 계획의 정비: 1972∼1973.6 = 51
2) 계획의 보완과 실행수단의 점검, 1973.7∼1973.12 = 59
2. 위기와 논쟁, 1974∼1976 = 66
1) 1차 석유파동과 조정논의, 1974∼1975.4 = 66
2) 회복과 제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작성, 1975.5∼1976.12 = 74
부록: 자료 = 89
제18장 중화학공업화와 일본 = 91
1. 중화학공업화선언과 1970년대 전반기의 한일경협 = 91
1) 중화학공업화선언과 1973년 한일경협 = 91
2) 한일경협 속의 내재된 갈등과 충돌 = 98
3) 한국의 노력과 1974∼1975년의 한일경협 = 103
2. 1970년대 후반의 한일경협 = 110
1) 한일경협의 지속과 그 원인 = 110
2) 1970년대 후반의 한일경협 = 116
제19장 중화학공업화정책의 변화와 조정, 1977∼1980 = 123
1. 중화학공업화 목표의 조기 달성과 시장구조의 변화, 1977∼1978 = 123
1) 해외 보호주의와 국내 기업우위의 등장과 100억 달러 수출달성 = 123
2) 성장비용과 안정론 = 128
3) 외자의 변화 = 134
2. 위기와 조정, 1979∼1980 = 136
1) 선진기술도입 확대와 경쟁 확대 = 136
2) 중화학공업 조정 1: 논쟁과 시작 = 137
3) 중화학공업 조정 2: 조정의 진행 = 142
부록: 보론/자료 = 149
제7부 교육, 기술, 인력과 연구
제20장 중화학공업화선언과 기술인력 공급정책의 형성 = 167
1. 새로운 인적자원 구성 요구의 등장과 대응 준비 = 167
2. 정규교육제도의 정비 = 173
1) 1973년 전반기의 개편과 정비 = 173
2) 1973년 후반기의 개편과 정비 = 181
3) 정비된 정규교육제도의 특징 = 189
3. 직업훈련제도 정비 = 199
4. 국가기술자격제도의 정비 = 206
부록: 자료 = 209
제21장 중화학공업화의 진행과 기술인력 공급정책의 변화 = 211
1. 인력자원의 불균형과 정책변화: 총괄 = 211
1) 인력수급 불균형과 정책대응, 1974∼1976 = 211
2) 제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과 정책변화, 1977∼1981 = 220
2. 정규교육제도 = 230
1) 공업고등학교 = 230
2) 대학교육 = 238
3) 정규교육제도 개편의 성과 = 244
3. 직업훈련 = 247
1) 기업 내 직업훈련과 인력개발 = 247
2) 기업 외 직업훈련 = 254
3) 직업훈련 실적 = 260
4. 국가기술자격제도의 운용과 실적 = 262
부록: 부표/자료 = 268
제22장 중화학공업화와 기술도입: 모방, 학습, 자립 = 271
1. 중화학공업화와 기술 = 271
2. 기술도입정책의 변화 = 273
1) 한국 중화학공업화와 기술도입 = 273
2) 기술도입의 다변화 = 276
3) 기술도입의 합리화 = 280
4) 기술도입 자유화와 정책변화 = 282
3. 기술도입 형태별 정책과 기술도입 내용 = 285
1) 체화기술 도입 = 285
2) 특허기술 도입 = 290
3) 합작투자 = 293
4. 기술도입 국가별 내용 = 296
5. 기술도입 성과와 한계 = 301
부록: 자료 = 304
제23장 중화학공업화와 연구개발 = 307
1. 중화학공업화와 연구개발의 필요성 = 307
2. 중화학공업화와 연구개발정책 = 308
1) 연구개발정책의 형성과 시작, 1973 = 308
2) 연구개발정책의 발전, 1974∼1976 = 311
3) 연구개발정책의 개편, 1977∼1979 = 316
3. 전문연구단지와 중화학공업 연구소 = 324
1) 대덕(大德)연구단지(기지)의 건설 = 324
2) 중화학공업 연구소 건설 = 329
4. 연구개발의 실태 = 336
1) 연구개발 관련 지표 = 336
2) 주체별 연구개발 = 344
3) 공업별 연구개발 = 354
5. 기술보유와 기술수준 = 358
부록: 부표/자료 = 363
제8부 중화학공업화의 문제와 대응
제24장 중화학공업화와 전문화ㆍ계열화 = 371
1. 중화학공업화와 전문화ㆍ계열화 정책, 1973 = 371
1) 공업화 전략과 전문화ㆍ계열화 = 371
2) 중화학공업화선언과 전문화ㆍ계열화 정책 = 373
2. 전문화ㆍ계열화의 진전과 중소기업형 전문기계공장, 1974∼1977 = 376
1) 전문화ㆍ계열화의 진전 = 376
2) 중소기업형 전문기계공장 = 383
3. 전문화ㆍ계열화 정책의 보완과 미완, 1978∼1979 = 388
4. 중화학공업 계열화의 현상 = 396
1) 계열화 수준 = 396
2) 계열화의 내용 = 399
부록: 부표/자료 = 403
제25장 중화학공업화와 석유ㆍ자원 파동: 1970년대 전반기 자원정책 = 405
1. 중화학공업화선언과 자원정책의 입안, 1973 = 405
1) 중화학공업화와 자원계획 = 405
2) 자원대책과 계획수정 = 411
2. 세계 자원전쟁과 정책대응 변화, 1974 = 415
1) 1차 석유파동 = 415
2) 자원확보 대책과 1974년 수급계획 = 419
3. 1975년의 자원정책 = 425
부록: 자료 = 430
제26장 자원정책의 변화와 자원수급, 1976∼1979 = 433
1. 자원수급계획의 수정 = 433
2. 제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과 수급계획의 재수정 = 439
3. 자원문제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정책의 출발 = 445
4. 자원수급의 변화와 자원정책의 한계 = 450
1) 자원수급의 변화 = 450
2) 1970년대 자원정책의 한계와 문제 = 453
부록: 자료 = 460
제27장 중화학공업화와 산업공해 = 461
1. 중화학공업화와 산업공해 인식 = 461
2. 초기 산업공해정책, 1973∼1975 = 468
1) 중화학공업화선언과 초기 산업공해정책 = 468
2) 초기 산업공해정책의 한계 = 473
3. 산업공해 대응정책과 정책괴리, 1976∼1977 = 478
1) 시각의 괴리와 문제점 = 478
2) 대응정책과 정책괴리 = 482
4. 산업공해정책의 전환과 한계, 1978∼1979 = 486
1) 산업공해정책의 전환 = 486
2) 전환의 한계 = 489
부록: 보론/자료 = 494
제9부 관련지표: 결과와 정리
제28장 중화공업화와 무역 = 499
1. 수출의 변화 = 499
1) 세계 수출구조의 변화와 한국 = 499
2) 한국의 중화학공업화와 수출 총괄 = 506
3) 한국의 중화학공업화와 공업별 수출 = 515
2. 수입의 변화 = 520
제29장 중화학공업화와 투자, 생산의 변화 = 527
1. 중화학공업화와 투자 = 527
1) 투자의 총괄 = 527
2) 중화학공업 공업별 설비투자와 생산능력 변화 = 534
3) 중화학공업 주요 투자사업 = 539
2. 중화학공업화와 생산 = 543
1) 제조업과 중화학공업 생산지표의 변화 = 543
2) 중화학공업 공업별 생산 = 546
제30장 1970년대 중화학공업화 관련지표 = 555
1. 주요 거시경제지표의 변화 = 555
2. 제조업 구조의 변화와 중화학공업의 역할 = 562
3. 중화학공업 공업별 지표의 변화 = 567
4. 중화학공업 기업경영지표의 변화 = 573
1) 성장성과 수익성 = 573
2) 유동성과 안정성 = 575
3) 생산성 = 576
4) 분배, 규모 = 579
- 다음글 아산, 그 새로운 울림: 미래를 위한 성찰 1. 얼과꿈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