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위치



도서자료실
한국기업가사연구
- 분류 : 기업·경영
- 서명 : 한국기업가사연구
- 저자 : 황명수
- 출판사 : 단국대학교출판부
- 출판년도 : 1999
- 등록번호 : AEM000411
- ISBN : 8970922172
- 도서이용정보 : 대출가능
내용
해설
목차
제Ⅰ장 경영사 및 기업가사 연구 동향
①. 미국의 경영사 및 기업가사 연구 동향 = 19
1. 미국의 경영사 및 기업가사의 탄생 및 발전 = 19
(1) 머리말 = 19
(2) 경영사의 탄생 = 23
(3) 그라스와 경영사 = 24
(4) 콜과 기업가사 연구 = 27
(5) 경영사의 방법론 논쟁 = 31
(6) 챈들러와 경영사 = 35
2. 미국의 경영사 연구의 현황(1970∼1980년대) = 39
(1) 경영사 연구 분야 = 39
(2) 경영사 연구기관 활동 현황 = 42
3. 맺음말 = 45
②. 한국의 경영사 및 기업가사 연구 동향 = 49
1. 경영사 및 기업가사 연구의 선구자, 제2세대 및 제3세대 = 49
2. 한국 경영사 및 기업가사 연구 현황 = 59
(1) 한국경영사학회의 탄생과 발전현황 = 59
(2) 한국 회사사 연구의 현황 = 62
3. 맺음말 = 65
제Ⅱ장 한국의 기업발달과 기업가의 경영이념
①. 한말에서 8·15해방까지의 기업의 발달 = 89
1. 머리말 = 89
2. 한말의 민족기업 = 94
(1) 근대적 민족기업의 발생 = 94
(2) 민족기업가의 출현 = 100
3. 1910년대의 민족기업 = 107
4. 1920년대의 민족기업 = 114
5. 1930년대 이후의 민족기업 = 122
6. 민족기업과 교육 = 132
7. 민족기업과 민족주의운동 = 144
8. 맺음말 = 151
②. 8·15해방 이후의 기업의 발달 ; 재벌기업의 형성과 발전을 중심으로 = 162
1. 머리말 = 162
2. 재벌기업의 출현 = 163
(1) 8·15 해방에서 6·25 사변까지 = 163
(2) 6·25 사변 이후에서 5·16까지 = 166
3. 재벌기업의 형성과 발전 = 169
(1) 5·16에서 1970년까지 = 169
(2) 1970년대에서 1980년 이후까지 = 173
4. 맺음말 = 179
제Ⅲ장 한국 기업가의 기업활동과 경영이념
①. 한국 경영이념의 사적 변천 = 185
1. 머리말 = 185
2. 시기구분 = 187
3. 한국 기업가의 기업동기 = 188
4. 경영이념의 사례 = 197
(1) 호암 이병철(1910∼1987년) = 198
(2) 성곡 김성곤(1913∼1975년) = 199
(3) 유일한(1894∼1971년) = 200
5. 맺음말 = 201
②. 한국 기독교 기업인의 윤리 ; 영미의 퓨리턴과 한국 개신교의 비교 = 204
1. 머리말 = 204
2. 영미퓨리턴의 기업윤리 = 206
(1) 영국의 퓨리턴과 기업윤리 = 206
(2) 미국의 퓨리턴과 기업윤리 = 210
3. 한국 기독교 기업인의 윤리 = 215
(1) 한국 기독교 기업인의 현황 = 215
(2) 한국 기독교 기업인의 윤리 = 218
(3) 한국의 유교적 기독교정신 = 226
4. 맺음말 = 231
제Ⅳ장 한국 기업가의 기업활동과 경영이념 사례
①. 한말과 일제시대의 사례 = 237
1. 한말의 거상 매헌 박승직의 생애와 기업활동 = 237
(1) 머리말 = 237
(2) 박승직의 생애와 기업활동 = 239
(3) 박승직의 상인정신 = 244
(4) 맺음말 = 246
2. 일제시대의 거상 박흥식의 기업활동과 상인정신 = 247
(1) 박흥식의 생애와 기업활동 = 247
(2) 박흥식의 상인정신 = 251
(3) 맺음말 = 254
3. 일제시대의 거성 인촌 김성수의 기업활동과 경영이념 = 25
(1) 머리말 = 256
(2) 인촌 김성수의 생애 = 256
3) 인촌 김성수의 기업활동과 그 배경 = 258
(4) 인촌 김성수와 김연수 형제의 기업활동 = 264
(5) 인촌 김성수의 기업동기와 경영이념 = 278
(6) 맺음말 = 285
②. 일제시대와 8·15 해방 이후의 사례 = 291
1. 나라 참사랑의 기업가 유일한의 생애와 경영이념 = 291
(1) 유일한의 생애와 업적 = 291
(2) 유일한의 가족관계 = 310
(3) 유일한의 경영이념 = 313
(4) 맺음말 = 319
2. 쌍용그룹의 창업자 성곡 김성곤의 기업활동 ; 금성방직을 중심으로 = 322
(1) 머리말 = 322
(2) 금성방직의 설립 = 323
(3) 설립초기의 금성방직 = 330
(4) 6·25 동란기의 금성방직 = 332
(5) 6·25 동란 이후의 금성방직 = 337
(6) 금성방직의 매도(사업전환) = 342
(7) 맺음말 = 345
3. 삼성물산의 성립과 호암 이병철의 기업가활동 = 348
(1) 머리말 = 348
(2) 삼성물산 설립 전사 = 349
(3) 삼성물산의 설립과 발전 = 354
(4) 삼성물산과 호암 이병철의 경영이념 = 363
(5) 맺음말 = 366
4. 한국의 거성 호암 이병철의 기업활동과 경영이념의 재조명 = 369
(1) 머리말 = 369
(2) 호암 이병철의 생애와 기업활동 = 372
(3) 호암 이병철의 경영관리 스타일 = 403
(4) 호암 이병철의 경영이념 재조명 = 408
(5) 맺음말 = 437
5. 교육보험의 개척자 대산 신용호의 생애와 경영이념 = 444
(1) 머리말 = 444
(2) 대산 신용호의 생애와 기업활동 = 448
(3) 「새 경영」과 대산 신용호의 기업교육관 = 468
(4) 교보생명의 기업위상 = 474
(5) 대산 신용호의 경영이념 = 484
(6) 대산 신용호의 경영이념에 대한 사회적 평가 = 492
(7) 맺음말 = 494
6. 반도체의 선구자 우곡 김향수의 아남그룹 성장과 창업정신 = 504
(1) 머리말 = 504
(2) 아남그룹의 성장과 발전 = 507
(3) 아남그룹의 성장요인 = 523
(4) 아남그룹의 성장과 우곡 김향수의 창업정신 = 541
(5) 21세기 한국 반도체 산업의 전망과 아남그룹의 과제 = 545
(6) 맺음말 = 558
제Ⅴ장 봉건기 한·일 상인사상의 비교(17세기 말∼18세기 초)
①. 머리말 = 577
②. 조선시대 후반기의 유수원의 사상 = 579
1. 유수원의 약력 = 579
2. 신분제개혁론 = 580
3. 상업론 = 583
4. 유수원의 사상이 후세에 미친 영향 = 587
③. 일본 도쿠가와 시대 중기의 이시다 바이간의 사상 = 589
1. 이시다 바이간의 약력 = 589
2. 상인사상 = 591
3. 이시다 바이간의 사상이 후세에 미친 영향 = 595
④. 맺음말 = 597
제Ⅵ장 한·일 기업집단의 비교
①. 머리말 = 603
②. 한·일 재벌그룹의 형성·발전 = 604
1. 한국 재벌그룹의 형성·발전 = 604
2. 전전 일본 재벌그룹의 형성·발전 및 해체 = 608
3. 전후 일본 기업집단의 형성·발전 = 610
③. 한·일 재벌그룹의 특질 = 612
1. 한국 재벌그룹의 특질 = 612
2. 전전 일본재벌의 특질 = 616
3. 전후 일본 기업집단의 특질 = 618
④. 맺음말 = 621
제Ⅶ장 한·일 종합상사의 현황과 전략
①. 머리말 = 627
②. 한·일 종합상사의 현황과 기능 비교 = 629
1. 한·일 종합상사 현황 비교 = 629
2. 유통기능 비교 = 634
(1) 한·일 종합상사의 상품유통기능 = 634
(2) 한·일 종합상사와 중소기업과의 관계 = 637
3. 취급상품에 대한 기능 비교 = 639
③. 일본 종합상사의 해외투자와 주한 일본 종합상사의 현황 = 641
1. 일본 종합상사의 해외투자 현황 = 641
2. 주한 일본 종합상사의 현황 = 643
3. 주한 일본 종합상사의 우위성과 특징 = 647
(1) 우위성 = 647
(2) 특징 = 647
④. 한·일 종합상사의 최신 경영전략 = 649
1. 한국 종합상사의 최신 경영전략 = 649
(1) 최신 주요 일반적 경영전략 = 649
(2) 최신 주요 중·장기 경영전략 = 652
2. 일본 종합상사의 최신 경영전략 = 655
(1) 최신 주요 일반적 경영전략 = 655
(2) 최신 주요 중·장기 경영전략 = 659
⑤. 주한 일본 종합상사의 무역업 개방에 대한 문제점과 대응책 = 662
1. 종합상사의 국제화 개념과 강화책 = 662
(1) 종합상사의 국제화 개념 = 662
(2) 종합상사의 국제화 강화책 = 663
2. 신규사업의 진출확대 = 665
(1) 종합상사의 사업 다각화 = 665
(2) 종합상사의 신규사업 형태 = 666
3. 체질개선과 조직개편 = 669
(1) 체질개선 = 669
(2) 조직개편 = 670
4. 리스크 증대에 따른 위험관리 = 673
(1) 종합상사의 리스크 형태 = 673
(2) 리스크의 대응책 = 674
5. 종합상사의 경쟁력 강화책 = 676
(1) 종합상사의 국제경쟁력 결정요인 = 676
(2) 주요 경쟁력의 강화책 = 679
6.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의 조성책 = 684
⑥. 맺음말 = 688
- 다음글 아산, 그 새로운 울림: 미래를 위한 성찰 1. 얼과꿈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