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아산리더십연구원

현재 페이지 위치

홈 대메뉴아산아카이브즈 중메뉴도서자료실

도서자료실

178.한국지역사회교육운동 30년.jpg

한국지역사회교육운동30년
  • 분류 : 현대그룹관련/지역사회학교
  • 서명 : 한국지역사회교육운동30년
  • 저자 :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
  • 출판사 : 한국지역사회교육중앙협의회  
  • 출판년도 : 2000
  • 등록번호 : AEM000371, AEM000496
  • ISBN :
  • 도서이용정보 : 대출가능
내용

1969년 1월 24일에 한국지역사회학교후원회가 탄생하였다. 1968넌 여름 동아일보사와 주한 미국공보원이 공동으로 실시한 국제세미나에서 “To Touch A Child”라는 영화를 보게 된 것이 계기였다. 미국의 지역사회학교를 소재로 하는 영화였는데 한 지역사회가 품고 있는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해나가는 내용이었다. 이 영화를 보고 언론인을 비롯하여 기업가, 학자, 민간단체 지도자들이 뜻을 모아 설립한 것이 한국지역사회학교후원회인 것이다.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은 이 단체의 초대 회장을 역임하였다. 자신의 회사 시설을 지역사회에 개방해서 지역 전체가 잘 살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고 싶다는 마음에서 비롯된 행보이다.

정주영 회장은 후에도 이사장직을 유지하며 지역사회학교운동에 관심을 보였다. 교장을 비롯한 담당교사 협의회가 정주영 회장 자택에서 이루어지기도 하고 MBC라디오 ‘별이 빛나는 밤에’의 청소년을 위한 교양강좌에 출연하기도 하는 등 적극적으로 이 운동에 참여하였다.
이렇게 다양한 인물들이 한 마음으로 시작한 한국지역사회학교후원회는 적극적으로 지역사회학교운동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그 결과 이 운동은 다른 지역으로 점차 확대되어 나갔다. 1973년 타 지역으로는 울산에서 처음으로 지역사회학교운동세미나가 개최되었고, 몇 차례의 발족과정을 거쳐 울산지역사회학교후원회가 탄생되었다. 지역협의회로서는 최초로 1980년 경상북도협의회가 결성된 것을 시작으로 1986년까지 12개 시도(市道)협의회가 결성되어 전국적인 조직의 기틀이 갖추어졌다.
1980년대를 지나면서 지역사회학교운동에 참여하는 학교의 수가 급속히 증가하여 지역사회와 학교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해나갔다. 특히 좋은 학교 만들기 운동은 많은 학교와 교육 관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1990년대부터는 부모교육사업까지 시작되어 지역사회의 교육이 근본부터 이루어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런 다양한 사업은 주부들이 전문성을 연마하여 사회 발전에 적극 공헌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여성의 권위를 신장시키는데 도움을 주기도 하였다.
이렇듯 교육공동체를 만들어 맑은 지역사회, 활기찬 학교를 가꾸고 싶어 시작된 작고 소박한 열정으로 시작한 한국지역사회교육운동이 30주년을 맞이하여 《지역사회교육운동 30년》이라는 책으로 간행되었다.

이 책은 1968년 미국의 지역사회교육운동이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되었던 국제세미나부터 1999년까지 수집된 사진 자료로 구성된 일종의 화보집이다. 이 책은 지역사회교육운동을 제 1기 태동기(1968~1969년), 제 2기 발돋움기(1970~1979년), 제 3기 성장기(1980~1989년), 제 4기 도약기(1990~1999년)로 구분하고 있어 그 발전 과정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다.

해설

『한국지역사회교육운동30년』은 1968년 미국의 지역사회교육운동이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되었던 국제세미나부터 1999년까지 수집된 사진 자료를 중심으로 구성된 일종의 화보집이다. 우선 한국지역사회교육운동을 제1기 태동기(1968~1969년), 제2기 발돋움기(1970~1979년), 제3기 성장기(1980~1989년), 제4기 도약기(1990~1999년)로 구분하고, 각 시기마다의 발전과정에 대해서 서술하고, 각각의 활동들을 사진에 설명을 달아서 덧붙이고 있다. 지역사회학교후원회라는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처음에는 후원회의 형식으로 출발하였다. 그러나 이후 운동 차원으로 확대되었고, 지역주민을 위한 초등학교 개방, 각종 강연회, 회보지의 발간, 연구모임, 지방후원회의 결성, 교사 교육, 부모 교육, 새이웃 잔치 개최, 심포지엄·좌담회·워크숍 개최 등 다양한 활동들을 전개하였다.

1995년에는 활동 거점이 될 지역사회교육회관이 개관을 했고, 현재까지도 여러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고 있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정관(定款)과 역대임원 명단이 정리되어 있다.
한국에서의 지역사회학교운동의 필요성을 실감했던 정주영은 초기부터 지역사회학교후원회에 참여했고, 1969년 후원회의 초대회장직을 맡기도 하였다. 그는 후원회의 여러 활동을 위한 자금을 지원했을 뿐만 아니라, 초등학교 개방을 위한 논의 과정에서는 직접 회사시설을 지역사회에 개방하겠다고 공표하는 등 실질적인 부분에서 지역사회운동에 참여하였다. 글로 직접 서술된 부분은 없지만 정주영의 활동은 사진 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내용 자체가 풍부하지 않아 다소간 아쉬움은 남지만 기업인으로서의 면모가 아닌 다른 측면에서 정주영의 활동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발간사 = 4

간행사 = 6

축사 = 7

축시 = 9

임원진 = 10

전국협의회장 = 14

연혁 = 16

한국지역사회교육운동 태동기 = 18

한국지여사회교육운동 발돋움기 = 30

한국지역사회교육운동 성장기 = 60

한국지역사회교육운동 도약기 = 84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 정관 = 150

역대이사명단 =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