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아산리더십연구원

현재 페이지 위치

홈 대메뉴아산아카이브즈 중메뉴도서자료실

도서자료실

152.현대정공20년사.jpg

현대정공 20년사 (1977–1997)
  • 분류 : 현대그룹관련/사사
  • 서명 : 현대정공 20년사 (1977–1997)
  • 저자 : 현대정공주식회사 (편)
  • 출판사 : 현대정공주식회사  
  • 출판년도 : 1997
  • 등록번호 : AEM000265
  • ISBN :
  • 도서이용정보 : 대출가능
내용

현대정공이 1997년을 기점으로 창립 20주년을 맞이하였다. 그래서 지금까지 회사의 발전 과정을 상세히 담아 정리하였다. 그 결과물이 『현대정공 20년사』이다. 현대정공이 창립된 1977년부터 1997년까지의 역사가 수많은 사진과 함께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1970년대 후반기는 한국경제와 현대그룹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시기였다. 대한민국은 1970년대 제1차 석유파동 이후 급속하게 경기가 후퇴했고 극심한 물가상승과 국제수지 적자를 겪고 있었다. 그러나 1975년부터 세계 경기회복과 더불어 한국 경제 역시 빠른 회복세를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977년 부동산 경기 붐 등으로 건설투자가 크게 늘어나고 중화학공업에 대한 집중투자도 이루어지게 되었다.

현대그룹은 한국경제의 미래를 위해서는 내수산업이 아니라 자동차, 조선 같은 수출지향적 중공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신념은 당시의 사정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것이었지만 정주영 회장의 선구안으로 한국경제 성장에 현대가 앞장서게 되었다.
회사 출범 후 2년도 되지 않아 뜻밖에 불어 닥친 제2차 석유파동으로 한때 큰 시련을 겪기도 하였다. 그러나 정주영 회장의 ‘하면 된다’ 정신에서 비롯된 열정과 패기, 도전 정신은 현대인 모두를 단합하게 하였다. 그리고 그 험난한 역경을 이겨내었다. 그 결과 창업 4년째인 1980년에는 컨테이너 총생산 10만 TEU를 돌파하여 단일 회사로서는 최단시기에 최대 생산을 기록, 세계 제 1위의 업체로 각광을 받게 되었으며 1981년에는 ‘1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자동차 산업의 성장에 따라 자동차 부품공장은 증설을 거듭하였으며, 1983년에는 인천제철로부터 고선박 해체산업을 인수하기도 하였다.

1985년에는 철도차량과 중기를 생산해냄으로써 현대정공은 종합 운송기계 전문 제조회사라는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 세계는 동서냉전체제가 종식되고 세계는 자본주의 단일시장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전환기 속에서 현대정공은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사업구조를 고도화시켜 나갔다. 이에 따라 4륜구동 자동차, 공작기계 등을 준공하고 기술개발을 위해 노력한 결과 4륜구동 자동차 시장의 선두주자가 되었으며, 경부고속전철사업에 참여하게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업의 다각화와 고도화를 발판으로 현대정공은 1997년에는 매출 2조 7000억 원을 겨냥하는 대형 기업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이렇게 끊임없이 발전해 온 현대정공은 현대정공 임직원들이 땀 흘려 노력해 온 발자취를 기억하기 위해 『현대정공 20년사』를 발간하였다. 20년 동안의 과거를 되돌아보고 오늘을 확인하며 내일을 준비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20년은 기업의 역사로서는 그리 오랜 시간은 아니다. 그러나 현대정공은 길지 않은 역사 속에서도 끊임없는 경영혁신과 기술개발로 우리나라 기계공업의 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렸고, 국가 경제를 발전시키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 피땀 어린 기억이 『현대정공 20년사』에 낱낱이 기록되어 있다.

해설

현대정공(現현대모비스)은 4륜구동 자동차, 컨테이너, 철도차량, 공작기계, 특수중기, 플랜트, 환경설비, 차량부품 등 국가 기간산업인 기계공업을 선도하는 회사이다. 1997년 창립 20주년을 기념하여 사사를 발간하였다. 1970년대 현대그룹은 중공업 위주의 사업 체제를 구성하는 중 건설, 조선, 자동차 등 현대가 영위하는 사업 분야에서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막대한 양의 자재나 부품을 자체 생산하여 안정적으로 공급하면 외화 절약과 그룹사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77년 출범한 현대정공은 20년 동안 한국 기계공업의 수준을 끌어올리고 그룹의 경쟁력 강화에 큰 기여를 하였다. 2000년 11월 현대모비스로 사명을 변경 하였다.

『현대정공 20년사』는 크게 「서편」, 「연혁편」, 「부록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편」에서는 한국 경제발전의 주역인 현대그룹의 성장배경과 성장과정, 한국경제와 정주영, 현대정공 20년 회고와 전망을 다루는 회장(정몽구)의 인터뷰가 실려 있다.특히 「서편-제3절 ‘한국경제와 정주영’」에서는 정주영에 대한 종래의 평가, 즉 현대그룹을 근거로 한 평가에서 벗어나 그를 현대 한국의 건설자, 유교문화의 계승자, 20세기와 21세기를 연결해주는 가교의 역할을 가장 성실하게 수행한 사람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연혁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구체적으로는 1976년부터 1979년까지를 창업기, 1980년에서 1985년을 확장기, 1986년부터 1990년을 도약기, 1991년부터를 고도화기로 나누어 각종 화보와 통사를 수록하고 있고 마지막 장은 경영지원현황을 다루고 있다. 책의 「부록편」은 1996년 12월까지의 경영자료와 연표로 구성되어 있다.

현대정공의 태동은 1975년 울산 매암동에 현대자동차써비스 종합부품 공장을 신축하면서이다. 구체적으로는 1976년 고려정공주식회사를 설립 등기하고 현대자동차써비스 울산공장을 인수한 뒤, 고려정공을 현대정공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초대 사장은 정몽구인데, 그는 1977년부터 1987년까지 10년간 현대정공 대표이사 사장으로 회사를 발전시켰고 1987년 이후부터는 회장직을 역임하며 현대정공을 지금의 현대모비스로 성장시켰다. 현대정공이 아들인 정몽구 경영체계 하에 있었던 만큼 이 책은 정주영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 자료로서는 한계가 있다. 2세 경영에 대한 비교연구나 현대 그룹에 대한 연구로 범위를 그 넓힌다면 자료로서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第1章
제1절
제2절 現代精工株式會社의 出帆 = 199

제3절 不況의 到來와 試鍊의 克復 = 219

제4절 초창기 事業部門別 활동과 經營實積 = 232

제5절 초창기 企業文化의 특징 = 262

第2章 業界 頂上確保와 사업영역의 擴張(1980∼1985)
제1절 成長을 위한 사업 多角化 = 270

제2절 지속적 成長을 통한 優位性 確保 = 283

제3절 新規事業의 진출과 擴大 = 305

제4절 現代車輛의 흡수 합병 = 343

제5절 跳躍基盤 구축에 기여한 經營成果 = 354

제6절 확장기의 位相과 企業文化 = 357

第3章 跳躍을 향한 企業 大變身 추진(1986∼1990)
제1절 3低 호황과 勞使問題의 대두 = 370

제2절 經營體制의 변화와 新規事業 진출 = 385

제3절 變化의 대응과 事業構造 조정 = 397

제4절 事業擴張과 계속적인 新規事業 추진 = 451

제5절 未來指向사업 推進과 世界化 = 497

제6절 급성장을 거듭한 經營實績 = 511

제7절 사원 福利厚生의 强化 = 514

第4章 競爭力 强化를 위한 事業構造 高度化(1991∼)
제1절 世界秩序 변화와 기업환경 = 522

제2절 環境變化에 대한 能動的 대응 = 528

제3절 運送· 運搬 사업 부문의 競爭力 强化 = 547

제4절 機械 및 플랜트사업 부문의 競爭力 강화 = 607

제5절 매출 2조5,000억원 규모의 대형회사로 成長 = 648

제6절 21世紀 超一流 기업을 향한 發展戰略 = 662

第5章 經營理念의 제정과 經營支援 활동의 强化
제1절 삶의 質을 높이는 價値經營 = 672

제2절 經營理念의 계승 發展 = 676

제3절 人材育成 = 680

제4절 財務 및 財政 = 689

제5절 資材 購買 = 693

제6절 정보시스템 구축 = 698

화보 / 오늘의 현대정공
附錄篇 : 經營資料 및 年表
일러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