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위치



도서자료실
한국재벌연구
- 분류 : 기업·경영
- 서명 : 한국재벌연구
- 저자 : 조동성 외
- 출판사 : 매일경제신문사
- 출판년도 : 1990
- 등록번호 : AEM000232, AEM000233
- ISBN : 2001974002616
- 도서이용정보 : 대출가능
내용
『한국재벌연구』는 사회적 비판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한국재벌을 우리 사회에 조금 더 바람직한 모습으로 이끌고자 쓴 책이다. 재벌에 대한 사회적 비판의 원인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재벌의 본질을 파악하고 재벌에 대한 사회의 비판적 시각을 올바로 인식하여 재벌경영자들에게 현재 우리 사회의 요구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미래 재벌의 모습을 어떤 방향으로 끌고 갈 것인가에 대해 비전을 제시하고자 쓰여졌다.
이 책은 총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재벌의 보편적인 속성과 재벌이 가진 강·약점, 그리고 외국역사에 나오는 재벌의 부침을 일반론적 관점에서 다루었다. 2부에서는 한국재벌을 이해하기 위해 재벌의 현재 모습, 지난 40여 년간 발전해 온 과정, 그리고 주요 재벌에 대한 사례연구를 시도하였다. 마지막 3부에서는 한국재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계량적으로 객관화하고, 그 내용을 경제·경영, 정치, 그리고 사회적 시각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한 후 이러한 여러 가지 비판을 극복하기 위한 저자의 제언을 서술하였다.
그 중 2부에서는 한국 재벌의 사례를 살펴보고 있다. 현대그룹의 경우 정주영 회장이 이끌어온 그룹의 역사를 돌이켜 보고 있다. 정미업부터 전자산업에 이르기까지 현대의 역사를 돌이켜 보고 있으며, 그 역사를 기술하는 과정에서 정주영 회장의 일화도 일부 함께 설명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환경변화에 잘 적응해 온 지난날 현대의 발전 과정을 통해서 앞으로의 교훈을 도출하였고, 기존의 전략 및 조직구조를 재검토함으로써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휘한 미래의 진로를 모색해 보아야 할 필요성에 직면하게 되었다. 때문에 소유구조, 경영구조, 전략 등을 분석하여 현대그룹의 성장배경을 파악하였다. 그 중 전략부분에서는 정주영 회장의 경영철학이 일부 나타나고 있다.
한국이 세계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부를 가진 나라와 거래를 해야 하며, 부국에는 시장이 어마어마하게 있다. 이러한 세계시장의 자유경쟁 속에서 현대의 체질을 경쟁지향적으로 만들고 기술과 경영노하우 축적을 통한 경쟁력 향상을 휘해서 해외 진출 및 자유경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오늘날 현대의 높은 해외시장 지향 전략은 이러한 정주영 회장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한국재벌에 대한 연구이다. 재벌의 일반론부터 세계 다른 나라의 재벌과 비교하였으며, 한국재벌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이론서로써 각종 수치 등 경제학을 공부하지 않고는 이해하기 힘든 점도 있지만, 현대계열기업의 주식 배분 수 등 일부 정주영 회장에 관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해설
『한국재벌연구』는 전문 연구자에 의해서 쓰여진 본격적인 재벌에 관한 연구서이다. 저자 조동성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재벌그룹과 정부 사이의 유착 관계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연구하면서 축적한 성과를 논문 등으로 발표하였다.
1987년 11월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의뢰로 “재벌에 대한 사회적 비판의 내용과 그 대응”이라는 주제의 연구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이 연구에는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 분야의 연구자들도 함께 참여하였다. 그 때의 결과보고서와는 별도로 당시에 수집한 자료들을 정리하고 분석해서 연구서로 구성한 것이 『한국재벌연구』이다. 여기에는 전경련 의뢰의 연구를 진행할 때 참여했던 연구자들의 논문이 ‘보론’의 형식으로 함께 실려 있다. 1990년에 초판이, 1991년에는 개정1판이 발행되었다. 이 해설집에서 소개하는 책은 개정판이다.
재벌의 개념과 이론부터 미국, 필리핀, 일본 등 외국 재벌의 역사에 대한 소개가 1부에서 다뤄지고, 2부에서는 한국재벌의 과거와 현재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부에서는 한국 재벌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경영성과, 한국재벌과 정부와의 관계, 혈족 승계, 재벌에 대한 사회적 비판과 극복 방안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2부의 4장에서는 한국재벌의 현황을 부가가치 생산액이나 재무·영업 상황, 제조업 및 중화학공업의 규모, 독과점 정도, 해외 투자, 은행 주식 소유 현황 등을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있어 현대 그룹의 경영 현황에 대한 파악과 함께 다른 재벌 그룹과의 비교가 가능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이 책이 쓰여진 시기를 고려할 때 책에서 활용하는 자료는 1980년대 후반까지의 자료라는 점을 감안할 필요는 있다.
5장에서는 한국재벌 형성의 역사를 1946~60년(제1기), 1961~71년(제2기), 1972~79년(제3기), 1980년 이후(제4기), 네 개의 시기로 나누어서 각 시기의 국내 경제 환경과 정부의 정책을 개관하고, 시기별로 재벌의 등장과 성장 및 특징을 서술하고 있다. 한국 재벌의 발전상을 통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현대의 성장을 정부 정책과의 관련성 및 한국 경제 발전의 맥락 위에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5장 5절의 ‘재벌의 각 시대적 특징과 변화’에서는 5장 전체의 내용을 간략하게 표로 요약하고 있어, 시대별 10대 재벌에 대해서도 표로 정리하고 있으므로, 우선 이 표를 살핀 후 선택적으로 본문을 읽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6장의 주요 한국재벌의 사례에서는 삼성, 현대, 럭키금성, 대우, 동양, 기아자동차 등 6개 그룹에 대해서 그룹의 개관, 성장과정, 성장배경 등을 서술하고 있다. 이 중 현대, 대우, 럭키금성, 기아자동차의 성장과정에 대해서는 정구현의 『한국기업의 성장전략과 경영구조』(대한상공회의소, 1987)를 주로 참조했음을 각주에서 밝히고 있다.
현대에 대해서는 중공업 위주의 그룹 경영과 강한 해외지향성을 주요 특징으로 꼽고, 그 근원으로 정주영을 들고 있다. 성장과정은 쌀가게로부터 출발하여 건설업, 중공업(자동차, 조선)을 거쳐 전자산업에의 도전까지의 과정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성장 배경에서는 현대그룹의 각 계열사별 소유구조를 표로 정리하고, 경영 구조에서 정주영의 역할을 대단히 강력하게 평가하고 있다. 해외 지사의 현황을 분석하며 현대의 해외 진출과 80년대 후반의 신규 업종 진출 및 다각화 전략에 대해서도 서술하고 있다. 내용은 전반적으로 소략한 편이지만, 표로 정리되어 내용 파악이 용이하다. 6장 7절의 ‘종합 및 평가’ 부분에서는 6장의 전체 내용이 요약되어 있으므로, 현대와 다른 그룹의 현황을 비교하려고 할 때는 이 부분만을 읽어도 이해하는 데에 무리는 없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 13
제1부 재벌일반론
제1장 재벌의 개념과 본질 = 23
제1절 문제 제기 = 23
1. 대규모성에서 야기되는 가진 자에 대한 비판 = 26
2. 정경유착에 의한 파행적 성장과정 및 독점적 자본축적에 대한 비판 = 26
3. 가족중심 소유와 탈법적 승계에 대한 비판 = 27
제2절 재벌의 개념과 본질 = 28
1. 재벌에 대한 개념 정의 = 29
2. 재벌의 본질 = 34
3. 재벌에 관한 조직적 정의 = 35
제2장 재벌에 관한 이론 = 41
제1절 경제·경영적 측면 = 42
1. 다각적 경영의 존립근거(정태론) = 45
2. 대규모 기업집단의 효율성(동태론) = 53
제2절 사회·정치적 측면 = 57
1. 재벌과 사회 : 재벌의 사회적 책임 = 57
2. 재벌과 정부 : 기업-정부관계의 이론적 검토 = 65
제3장 각국 재벌의 역사 = 71
제1절 미국의 거대기업(giant corporation) = 71
1. 거대기업의 형성배경 = 72
2. 거대기업의 형성과정 = 74
3. 거대기업이 미국사회에 미친 영향 = 78
4. 거대기업의 변화 : 다각화 및 국제화 = 79
5. 미국 거대기업에 대한 평가 = 82
제2절 일본의 재벌 = 83
1. 2차대전 이전의 일본재벌 = 84
2. 전후(戰後)의 일본재벌 = 90
3. 일본재벌에 대한 평가 = 96
제3절 필리핀의 재벌 = 98
1. 개관 = 98
2. 필리핀의 주요 재벌 = 100
3. 필리핀재벌에 대한 평가 = 103
제4절 대만의 재벌 = 103
1. 개관 = 103
2. 대만의 주요 재벌 = 104
3. 대만재벌에 대한 평가 = 109
제5절 홍콩의 재벌 = 110
1. 개관 = 110
2. 홍콩의 주요 재벌 = 111
3. 홍콩재벌에 대한 평가 = 115
제6절 인도네시아의 재벌 = 116
1. 개관 = 116
2. 인도네시아의 주요 재벌 = 117
3. 인도네시아재벌에 대한 평가 = 121
제7절 각국 재벌의 비교 평가 = 123
제2부 한구재벌의 과거와 현재
제4장 재벌의 계량적 개관 = 131
제1절 재벌의 규모 = 131
1. 재벌의 부가가치 비중 = 132
2. 재벌의 재무·영업 상황 = 135
3. 재벌의 산업별 비중 = 137
4. 재벌의 유가증권 및 부동산 소유현황 = 139
5. 재벌의 국제경영 활동 현황 = 143
제2절 재벌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 146
1. 재벌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 146
2. 재벌이 중화학공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 147
3. 재벌의 연구개발에 대한 기여도 = 148
4. 재벌의 독과점화 정도 = 150
제3절 재벌이 금융에서 차지하는 비중 = 153
1. 재벌의 은행여신 비중 및 은행주식 소유현황 = 153
2. 재벌의 은행주식 소유현황 = 156
3. 재벌의 직접금융 이용현황 = 157
4. 재벌의 제2금융 및 현지금융 현황 = 158
제5장 한국재벌의 역사 = 163
제1절 제1기(1945~1960년) = 163
1. 역사적 배경 = 163
2. 재벌의 등장 = 170
3. 요약 = 173
제2절 제2기(1961~1971년) = 174
1. 역사적 배경 = 174
2. 재벌의 특징 = 179
3. 요약 = 185
제3절 제3기(1972~1979년) = 186
1. 역사적 배경 = 186
2. 제3기 재벌의 특징 = 190
3. 요약 = 200
제4절 제4기(1980년 이후) = 200
1. 역사적 배경 = 200
2. 제4기 재벌의 특징 = 207
3. 첨단산업 분야로의 진출과 기술개발 투자의 증대 = 211
4. 요약 = 215
제5절 재벌의 각 시대적 특징과 변화 = 216
제6장 주요 한국재벌사례 = 219
제1절 삼성그룹 = 220
1. 서론 = 220
2. 삼성의 발전과정 = 221
제2절 현대그룹 = 230
1. 개관 = 230
2. 성장과정 = 232
3. 성장배경 = 235
제3절 럭키금성그룹 = 242
1. 개관 = 242
2. 성장과정 = 244
3. 성장배경 = 247
제4절 대우그룹 = 251
1. 개관 = 251
2. 성장과정 = 253
3. 성장배경 = 263
제5절 동양그룹 = 270
1. 개관 = 270
2. 성장과정 = 271
3. 성장배경 = 274
제6절 기아자동차그룹 = 286
1. 개관 = 286
2. 성장과정 = 287
3. 성장배경 = 294
제7절 종합 및 평가 = 301
제3부 한국재벌의 미래와 과제
제7장 한국재벌에 대한 비판적시각 = 309
제1절 재벌에 대한 국민의 의식 = 309
1. 대한 서울상공회의소 : 국민의 기업인식도 조사보고(1987.12) = 310
2. 한국경영연구원 : 국민경제 의식 동향조사(1988.8) = 314
3. 한국갤럽연구소 : 국민의 대기업에 대한 인식조사(1984.4) = 314
4.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 중소 기업경영의식조사(1989.6) = 317
제2절 재벌관련 주요 이슈 분석 = 318
1. 재벌관련 주요 이슈 = 318
제3절 재벌관련 이슈의 시대적 변천 = 328
1. 제1기 : 1950~1960년 = 329
2. 제2기 : 1961~1971년 = 329
3. 제3기 : 1972~1979년 = 330
4. 제4기 : 1980년 이후 = 330
제8장 한국재벌의 경영성과 = 333
제1절 재벌과 일반기업간의 경영성과 차이 = 333
1. 재벌의 경영지표 분석 = 334
2. 재벌과 비재벌(非財閥)간의 경영성과 차이에 관한 T-검증 = 348
제2절 재벌의 경영성과와 전략·구조간의 상관관계 = 353
1. 연구의 필요성 = 353
2. 모형의 설정 = 353
3. 실증 결과 및 해석 = 361
제3절 분석결과의 종합과 시사점 = 365
제9장 한국재벌과 정부의 관계 = 371
제1절 한국의 기업-정부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372
제2절 한국재벌의 대정부(對政府) 지위 변화 = 378
제3절 재벌의 정치적 위상(位相)과 정경유착 = 381
1. 재벌의 정치적 위상 = 381
2. 한국재벌의 정경유착(政經癒着) 문제 = 383
제4절 한국의 재벌과 정부관계의 전개 방향 = 385
1. 한국기업과 정부 관계의 전망 = 385
2. 한국재벌의 대(對) 정부관계 재정립 = 388
제10장 한국재벌의 소유집중과 혈족승계 = 391
제1절 소유집중 = 392
1. 소유집중의 의미와 평가 = 392
2. 한국재벌의 소유집중 현황 = 396
제2절 기업소유·경영권의 혈족승계 = 405
1. 기업소유·경영권의 승계유형 = 406
2. 기업소유·경영권의 승계에 대한 사례조사 = 409
제11장 사회적 비판극복을 위한 대응방안 = 417
제1절 논의의 종합 = 417
제2절 재벌의 미래에 대한 시나리오 = 420
제3절 재벌문제에 대한 대응방안 = 422
1. 기업경영자에 대한 제언 = 423
2. 정부의 정책결정자에 대한 제언 = 428
제4절 우리가 극복해야 할 과제 = 431
참고문헌
Ⅰ. 한국문헌 = 435
1. 서적 = 435
2. 논문 = 436
Ⅱ. 일본문헌 = 437
1. 서적 = 437
2. 논문 = 437
Ⅲ. 구미문헌 = 438
1. 서적 = 438
2. 논문 = 438
보론1 : 경제적 관점에서 본 한국재벌의 문제와 대응 방안 / 송병락 = 443
보론2 : 사회적 관점에서 본 한국재벌의 문제와 대응방안 / 송복 = 465
보론3 : 정치적 관점에서 본 한국재벌의 문제와 대응방안 / 이상우 = 493
- 다음글 아산, 그 새로운 울림: 미래를 위한 성찰 1. 얼과꿈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