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위치



도서자료실
아산재단 10년
- 분류 : 현대그룹관련/사사
- 서명 : 아산재단 10년
- 저자 : 아산재단 10년 편찬위원회 (편)
- 출판사 : 아산복지사업재단
- 출판년도 :
- 등록번호 : AEM000142, AEM000143
- ISBN :
- 도서이용정보 : 대출가능
내용
1977년 7월에 아산재단이 설립되었다. 그 이전에도 우리나라에 장학이나 사회복지를 위한 재단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아산재단과 같이 사회복지사업을 표방한 대규모 재단의 설립은 없던 일이었다. 아산재단의 설립자는 익히 알고 있는 것처럼 현대그룹의 정주영 회장이다. 정주영 회장은 현대건설주식회사 창립 30주년을 기념하여 사회복지증진을 주된 목적으로 공익법인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을 설립하기로 결정하였다. 각 지역의 불우하고 빈곤한 사람들을 돕는 사회사업 단체들을 지원하며 또한 근로자를 위시한 어려운 사람들의 자녀 교육을 돕고 국가적인 인재의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정주영 회장은 진취적 기업인으로서 모험심과 정열, 성실성과 창의적인 노력으로 오늘의 현대그룹을 일구었지만 이제는 기업만 생각할 때가 아니라 기업이나 부 이외에 자신이 이 세상에 남길 것도 생각할 때가 되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자신의 인생의 보람도 중요한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었다. 중등교육도 못 받고 가난하게 자라난 그 자신의 어려웠던 시절을 잊을 수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깊은 인식이 자리 잡기 시작했던 터라 그는 결국 복지재단을 설립하기 시작하였다.
아산 재단의 첫 사업은 농어촌 등 의료취약지역에 최신 의료시설과 우수한 의료진을 갖춘 현대식 병원을 설립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 사업이 추진된 지 1년 반 만에 5개의 병원이 모두 정상진료에 들어가는 등 설립자의 복지 사업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주었다. 또한 심신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들이나 고아, 노인 등을 보호하는 사회복지시설을 돕는 사회복지단체 지원 사업도 시작하였다.
당시 사회복지시설은 전국 각지에 있었지만 몹시 영세한 실정이었다. 초년도에 78개의 단체에 4억 8천 4백만원의 지원금이 지급되었다.
장학사업도 첫해부터 시작되어 초년도에 대학생 1천 7백 60명으로 시작하여 총 9천 6백 53명에게 32억 3천 5백여 만 원의 장학금이 지급되었다.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지원사업도 시작하였다. 더불어 출판 사업에도 관심을 가졌다. 이들은 복지사업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지만 사회복지사업이란 물질적 지원 뿐 아니라 정신적 지원도 중요하다는 가치관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렇게 시작된 아산재단은 10년 동안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사회복지재단으로 발돋움했고, 우리 사회의 소중한 밑거름이 되었다.
《아산재단십년》은 아산재단이 설립된 후 그간의 업적을 요약하여 수록하고 있다. 재단 사업 이외에도 설립자인 정주영 회장의 인생 역정과 평생 모은 재물을 서슴없이 출자하여 아산재단을 만들게 된 과정도 담겨 있다. 그리고 그가 사회복지사업에 관심을 가지게 된 사상적 배경 역시 살펴볼 수 있다. 설립 10주년을 맞이하는 아산재단은 그동안 수많은 사업을 통해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데 앞장섰지만 여기서 만족하지 않는다. 지금까지의 10년은 앞으로의 10년을 위한 터전일 뿐이다. 그만큼 전진된 사회 여건에 알맞은, 그리고 국민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사업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 따라서 《아산재단십년》은 그동안의 발자취를 정리하고 다시금 도약하기 위해 출간된 것이다.
해설
1977년 정주영은 아산사회복지재단을 설립하였다. 오늘날 기업·기업가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단어는 그다지 낯설지 않다. 그러나 1970년대만 하더라도 정부가 아닌 기업이 일반 시민들의 복지에 관심을 기울이고 관련되는 활동들을 구상하는 것은 대단히 생경한 일이었다. 사회복지대단의 설립에 대해 혹자는 정부의 기업공개 요구를 거절할 명분을 찾기 위해서라고도 평가하지만, 현대건설 주식의 절반을 내서 재단을 만들 정도라면 사전에 치밀한 구상과 계획이 없이는 불가능할 것이다. 그렇게 만들어진 아산사회복지재단은 농어촌 지역에 병원을 짓는 의료관련 사업부터 시작해 연구자들에 대한 지원과 심포지엄 개최, 사회소외계층에 대한 의료 및 활동 지원, 장학사업, 출판사업 등 다양한 사업들을 진행하였다.
그 10년의 활동 내용과 성과를 담아 『아산재단10년』을 출판하였다.
『아산재단10년』에는 아산사회복지재단의 설립과정과 그 활동과 실적, 사회적 의미 등 지나온 발자취에 대한 정리와 새로운 목표 및 과제 등이 제시되어 있다. 1장의 「아산재단의 설립」에서는 아단재단 설립의 배경으로 설립자인 정주영과 재단의 경제적 기반이 되는 현대그룹 계열사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재단설립의 목적 및 이념 등도 이 부분에서 정리되고 있는데, 정주영이 발표한 설립취지문의 전문이 여기에 실려 있다. 2장 「사업의 전개」에서는 의료복지사업, 사회복지지원사업, 연구개발지원사업, 장학사업, 학술연찬사업, 출판사업 등 아산재단의 주요 사업에 대해 사업별 내용, 진행 현황, 성과 및 실적 등을 도표와 그래프 등을 활용해서 보여주고 있다. 제3장 「아산재단 십년의 회고」에서는 아산재단설립 과정에서 이사로 참여했던 사람들이 설립 구상 단계에서 정주영을 만나 복지사업에 참여하게 되는 일을 수필 형식으로 쓴 글 세 편이 실려 있다.
정주영이 처음에 재단을 설립하게 된 목적 등을 일부 확인할 수 있다. 4장 「한국의 사회복지사업과 아산재단」은 한국의 사회복지사업의 발달 과정에 대한 분석과 아산재단의 역할에 대해 소논문 형식으로 쓴 글이고, 5장은 분야별 업적에 대한 정리를, 부록에는 연보와 정관, 임원 등의 명단이 정리되어 있다.
정주영의 아산재단 설립은 이른 시기에 이루어졌고, 그 활동의 사회적인 의미에 대한 분석도 필요할 것이다. 사회복지사업 분야와 관련지어서 정주영의 생애 혹은 활동을 연구하고 싶다면 이 책은 반드시 참고해야할 중요 자료가 될 것이다. 2장의 사업전개과정은 필요한 자료들만 추려서 봐도 무방할 것이지만, 1장과 3장은 정주영의 초기 아산재단에 대한 구상과 운영 방향 등을 잘 담고 있으므로 꼼꼼히 읽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목차
發刊辭
祝辭
第1章 峨山財團의 設立
第1節 財團設立 背景 = 47
1. 財團의 設立者 = 47
1) 勤勉·誠實의 哲學 = 48
2) 企業家 精神 = 53
3) 信念과 理想 = 57
2. 財團의 經濟基盤 = 61
1) 現代建設의 浮上 = 61
2) 社運을 건 蔚山造船所 建設 = 63
3) 中東進出과 現代그룹의 發展 = 64
第2節 財團의 出帆 = 67
1. 財團設立의 目的과 理念 = 67
1) 設立動機 = 67
2) 不遇·貧民과 勤勞者 福社 = 69
3) 不均衡 發展의 克服 = 72
2. 財團의 組織과 運營 = 74
1) 任員과 理事會 = 74
2) 諮問委員會 = 75
3) 事務處 = 80
4) 附屬病院 = 82
5) 資産의 管理 = 84
第2章 事業의 展開
第1節 醫療福祉事業 = 89
1. 農漁村醫療의 現代化 = 89
2. 附屬病院의 建立과 運營 = 92
1) 井邑綜合病院 = 92
2) 寶城綜合病院 = 98
3) 麟蹄綜合病院 = 105
4) 保寧綜合病院 = 110
5) 盈德綜合病院 = 117
6) 서울中央病院 建立 = 123
3. 事業의 成果 = 124
1) 3百 10萬여명 診療 = 124
2) 奉仕的 醫療施惠 = 127
3) 地方醫療센터로서의 役割 = 130
4) 雇傭增大의 效果 = 131
4. 病院運營上의 當面課題 = 131
1) 醫療要員의 安定的 充員 = 131
2) 診療의 合理性 提高 = 132
3) 老朽施設의 補修 및 交替 = 132
4) 硏究施設의 設置 = 133
5) 經營合理化의 追求 = 133
第2節 社會福祉支援事業 = 146
1. 不遇階層 救援 = 146
2. 事業의 內容 = 149
1) 基本方向 = 149
2) 事業의 年次的 變化 = 153
3. 事業의 實績 = 155
1) 分析模型 = 155
2) 年度別 實績 = 156
4. 事業의 成果 = 175
1) 社會的 要求에의 對應 = 175
2) 支援事業의 動機誘發 = 175
3) 專門家 介入의 活性化 = 176
4) 人間尊重의 價値實現 = 176
5. 事業의 當面課題 = 177
1) 申請과 支援間의 乖離 = 177
2) 效率的인 事後管理의 必要性 = 178
3) 支援施設物 및 器資材의 活用 = 178
4) 運營者의 姿勢 = 180
5) 非法人團體의 問題 = 181
第3節 硏究開發支援事業 = 182
1. 學問과 技術發展 支援 = 182
2. 事業의 內容 = 183
1) 基本方向(1977∼1981) = 183
2) 事業의 重點變化(1982∼1986) = 195
3) 硏究支援事業의 管理 = 201
3. 事業의 實績 = 206
1) 硏究費 支給 = 206
2) 支援對象者 = 208
3) 地域別 支給實績 = 208
4) 硏究結果 發表 = 209
4 事業의 成果 = 213
1) 硏究雰圍氣 造成 = 213
2) 硏究支援事業 先導 = 213
3) 共同·學際的 硏究의 奬勵 = 213
4) 硏究結果의 活用促進 = 214
5) 學術誌 및 學會의 發展에 寄與 = 214
第4節 奬學事業 = 215
1. 均等한 敎育機會의 追求 = 215
2. 事業의 內容 = 217
1) 基本方向 = 217
2) 事業의 年次的 變化 = 221
3) 奬學生 事後指導 = 226
3. 事業의 實績 = 228
1) 年度別 支給實績 = 229
2) 各級學校別 支給實績 = 230
3) 種類別 支給實績 = 231
4) 系列別 支給實績 = 232
5) 地域別 支給實績 = 234
6) 卒業生 現況 = 234
4. 事業의 成果 = 237
1) 새로운 奬學槪念 확립 = 237
2) 運營方式의 合理化 = 237
3) 勤勉·誠實의 社會風土 造成 = 237
4) 少額·多受惠者의 특징 탈피 = 238
第5節 學術硏鑽事業 = 239
1. 福祉社會 심포지엄의 目的과 意義 = 239
2. 福祉社會 심포지엄의 內容 = 242
1) 福祉社會의 理念과 方向 = 242
2) 産業社會의 職業倫理 = 246
3) 現代社會와 障碍者福祉 = 251
4) 現代社會와 老人福祉 = 254
5) 現代社會와 靑少年福祉 = 257
6) 産業社會와 停年 = 261
7) 現代社會와 家族 = 266
8) 現代社會와 女性 = 269
3. 심포지엄의 成果와 展望 = 273
第6節 出版事業 = 275
1. 出版事業의 內容 = 275
1) 季刊「峨山」 = 275
2) 「峨山健康消息」 = 277
3) 「峨山硏究論文集」 = 277
4) 福祉社會 시리즈 = 277
5) 「韓國의 社會福祉」 = 279
6) 「障碍者福祉 便覽」 = 279
7) 「老人福祉 便覽」 = 280
2. 出版事業의 評價와 展望 = 282
第3章 峨山財團 十年의 回顧
任員回顧
鄭會長의 熱情에 理事職 受諾 = 285
그때 그 이야기 = 288
豫期치 못했던 우연한 因緣 = 291
諮問委員 座談
峨山財團의 어제와 오늘 = 295
第4章 韓國의 社會福祉事業과 峨山財團
1. 우리나라 社會福祉事業의 發達 = 323
2. 社會公益事業의 發達과 峨山財團 = 341
3. 社會福祉事業과 峨山財團의 役割 = 348
4. 來日의 社會福祉事業과 峨山財團 = 354
第5章 支援事業 分野別 業績
1. 社會福祉支援團體 및 支援事業內容 = 363
2. 硏究費 受領者 및 支援課題 = 380
3. 奬學金 受惠者 名單 = 502
4. 「峨山」誌 揭載 論文 目錄 = 589
附錄
年誌 = 597
定款 = 607
理事會 運營規程 = 613
諮問委員會 運營規程 = 615
社會福祉事業 支援規程 = 617
硏究開發 支援規程 = 622
奬學規程 = 626
職員(幹部) 名單 = 630
- 다음글 아산, 그 새로운 울림: 미래를 위한 성찰 1. 얼과꿈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