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아산리더십연구원

현재 페이지 위치

홈 대메뉴아산아카이브즈 중메뉴도서자료실

도서자료실

8.한국형 기업문화의 조명.jpg

한국형 기업문화의 조명 : 한국기업의 사례연구
  • 분류 : 기업·경영
  • 서명 : 한국형 기업문화의 조명 : 한국기업의 사례연구
  • 저자 : 고승희
  • 출판사 : 수서원  
  • 출판년도 : 2006
  • 등록번호 : AEM000014, AEM000015
  • ISBN : 9788988892671
  • 도서이용정보 : 대출가능
내용

『한국형 기업문화의 조명 : 한국기업의 사례연구』은 한국형 기업문화의 특성을 탐구하고 이에 바람직한 기업문화의 행태를 모색하고자 한 책이다. 한국 기업의 역사적인 성장을 살펴보며 삼성·LG·현대·SK·유한킴벌리 등의 대기업의 문화를 분석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현대그룹의 경우 아산 정주영의 기업가정신과 문화창달활동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곧 정주영 회장의 기업가정신이 현대그룹의 기업문화에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정주영 회장의 기업가정신은 성장과정 속에서 그를 둘러싼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농촌에서의 가난함, 그 속에서 성실히 사셨던 부모님의 생활에서 개척의지와 근검절약의 정신 등 인생의 중요한 교훈을 배우고 익혔던 것이다.

아산 정주영이 ‘현대’라는 상호를 사용한 것은 1946년 4월이었다. 이후 6·25 전란을 거쳐 사업은 건설업 등으로 확장되었고 그 시기 현대건설은 성장의 기반이 되는 자본을 축적할 수 있었다. 이후 기업은 계속하여 성장했고 해외로 진출하였으며 여러 산업을 고루 맡게 되면서 집단적인 기업으로 발돋움하였다.
이러한 현대의 발전에는 아산 정주영의 혁신적인 기업가활동이 핵심적이다. 그는 기업가로서의 조직력과 판단력, 결단력과 설득력, 그리고 창조력과 기획력을 골고루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을 많지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독서를 통하여 기업가로서의 지성을 축적하였다. 아산은 신용과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부와 기회를 창출한 자수성가형 기업가이다. 아산 정신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그는 기업을 경영함에 있어서 시간이나 재화의 낭비가 허용되지 않고 요행이나 도리에 맞지 않은 이득을 바라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영국 근대화과정에서 나타난 ‘요맨리(Yeomanry)’ 정신에 비유될 수 있다. 그는 항상 기업의 존립기반은 국가이기 때문에 기업은 국가의 발전과 사회의 안정에 기여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국익사상을 피력하였다. 이와 같이 그의 기업활동과 생활 신조 속에 발견되는 신용제일주의, 근면성실주의, 책임주의, 기술우선주의, 도전주의 및 창조주의정신이 아산정신의 기반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진다.
‘현대정신’은 창조적 예지, 적극적 의지, 강인한 추진력 그리고 근검의 기풍으로 요약된다.

이에 아산정신에 바탕을 둔 경영이념이 더해진다. 바로 ① 미래사회를 선도할 세계 일등기업을 지향한다, ② 인간존중의 이념으로 사원의 자기실현을 지원한다, ③ 창의와 기술로 항상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다, ④ 고객 최우선 정신으로 고객만족을 극대화한다, ⑤ 풍요로운 국가건설과 인류사회발전에 공헌한다, 라는 다섯 가지이다.
현대그룹문화의 행태는 ‘현대정신’의 바탕 위에 ‘캔두이즘 문화’를 창조하여 모험적 행동주의에 따라 경영활동이 수행되어온 것으로 보인다. 모험형의 기업문화는 도전적인 큰 모험을 행하기 때문에 강력한 지도자를 중심으로 모든 분야에 걸쳐 의사결정과 조직행동이 전개되며 지도자의 경영이념과 기업가정신이 강하게 반영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그리고 현대그룹은 내부조직의 결속문화가 형성되어 있다. 정주영을 정점으로 하는 가족집단에 의하여 관리와 통제가 이루어지는데 이는 아산의 유교사상에 근거하는 가족주의적 공동체의식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해설

인간 사회에도 그 나름의 특성과 분위기가 있듯이 기업에도 서로 다른 문화적 풍토가 있다. 이것이 기업문화이다. 기업문화는 기업의 경쟁력과 성장의 원천으로 작용했고, 기업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기업체가 구축해놓은 기업문화를 인식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한 기업문화는 어디로부터 오는가? 대체로 그 기업을 창업하고 이끌어 온 기업가의 창업정신과 경영이념, 그리고 기업윤리관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한국경제성장발전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 결국 기업문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형 기업문화의 조명 : 한국기업의 사례연구』은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탄생한 책이다.

이 책은 총 2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한국기업의 문화적 토양」에서는 우선 기업문화의 개념과 유형을 이론적으로 정리하고, 한국적 기업경영의 문화적 토양을 상업에서 특히 개성상인 정신에서 찾고 있다. 2부 「한국 기업문화의 특성」에서는 삼성, 현대, LG 등 여러 기업들의 창업자 및 경영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기업가정신과 기업문화 형성 사이의 관련성에 대해 실질적인 사례를 들어서 분석하고 있다. 정주영과 관련해서는 3장 ‘정주영의 기업가정신과 현대그룹의 기업문화’부분에서 아산정신과 현대그룹의 기업문화의 특징이 정리되고 있다.
사업확장 과정의 단순 나열을 지양하고, 어떤 시대적인 배경 하에서 각 사업이 전개되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성공할 수 있었는지 그 요인들을 함께 분석하고 있다. 저자는 정주영의 장인정신과 기술에 대한 집념 등이 현대그룹의 성장에 반영되었다고 보고 있다. 또 아도서비스공장에서 현대토건사로의 설립은 서비스업의 상업자본이 건설업이라는 산업자본으로 전환한 것으로 해석하고, 이후에 현대조선소 설립, 현대전자 설립 등도 새로운 영역의 개척과 이를 통한 경영 다각화로 보고, 중화학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발전을 했다고 보고 있다. 그룹문화실 신설에 대해서도 기업 활동의 활력소가 되었다고 평가하는 등 ‘아산정신’을 통해 형성된 현대의 기업문화가 그룹을 어떻게 발전시키고, 한국경제에 기여했는지를 정리하고 있다.
저자는 아산정신의 바탕에 사업보국주의, 근면성실주의, 신용제일주의, 기술우선주의, 책임주의, 도전주의, 창조주의가 있고, 이것을 바탕으로 아산의 기업가정신인 경제정신(근면·검소·친애), 사회적 책임정신, 문화정신이 형성되고, 다시 이것을 통해 창조적 예지, 강력한 추진력, 적극의지, 근검의 기풍을 가진 현대그룸의 문화가 만들어졌다고 보고 있다.

이런 분석 내용은 표로 제시되어 있어 이해를 돕는다. 또 현대그룹문화의 특징에 대해서도 기업문화의 분석의 이론을 활용해 유형화를 시도했고, 외부적으로는 강력한 지도자를 중심으로 하는 모험형 기업문화가, 내부적으로는 핵심인물을 중심으로 하는 권력조직문화가 형성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외에도 정몽구 체제 이후 현대그룹의 새로운 기업문화 정립 시도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어 현대 기업문화의 변화상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저자는 단순히 정주영의 생애 소개와 다양한 사업 소개에만 그치지 않고, 그의 정신의 바탕에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기업가정신으로 발전해서 현대의 그룹 문화로 자리잡는 과정과 그 특징 등을 상세히 정리하고 있다. 이론에 바탕을 둔 논리적인 분석이 이 책의 큰 장점이다. 『한국형 기업문화의 조명 : 한국기업의 사례연구』는 정주영 개인에 대한 연구나 현대그룹에 대한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른 기업가들에 대해서도 정리가 잘 되어 있으므로 비교연구를 할 때에도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목차

제Ⅰ부 한국기업의 문화적 토양

제1장 기업과 문화의 만남

Ⅰ. 문화의 뜻 = 3

Ⅱ. 기업과 문화의 만남 : 기업문화 = 6

Ⅲ. 기업문화의 구성요소 = 8

Ⅳ. 경영자원으로서의 기업문화 = 10

Ⅴ. 기업문화의 행태 = 15

Ⅵ. 기업문화와 CSR = 25

제2장 한국적 기업경영의 문화적 토양

Ⅰ. 프롤로그 = 30

Ⅱ. 한국 상업문화의 전개와 상도의 형성과정 = 31

Ⅲ. 한국적 기업경영의 문화적 토양 = 44

Ⅳ. 한국기업의 문화유형과 개발환경 = 61

Ⅴ. 에필로그 = 67

제3장 개성상인정신과 송도치부법의 상업문화적 특성

Ⅰ. 프롤로그 = 69

Ⅱ. 개성상인정신의 경영사상적 기반 = 70

Ⅲ. 송도치부법에 투영된 개성상인의 경영사상 = 83

Ⅳ. 개성상인에 의한 송도치부법의 회계구조 = 104

Ⅴ. 개성상인정신과 송도치부법의 상업문화적 특성 = 129

Ⅵ. 에필로그 = 135

제Ⅱ부 한국 기업문화의 특성

제1장 호암 이병철의 문화정신과 삼성문화의 형성 = 141

제2장 이건희의 기업가정신과 삼성문화 = 207

제3장 정주영의 기업가정신과 현대그룹의 기업문화

Ⅰ. 프롤로그 = 289

Ⅱ. 아산정신의 형성과 기업문화적 배경 = 290

Ⅲ. 아산정신에 의한 현대그룹문화의 창조 = 307

Ⅳ. 현대그룹의 기업문화적 특성 = 327

Ⅴ. 에필로그 = 330

제4장 구인회의 창업정신과 LG그룹의 기업문화 = 332

제5장 SK그룹의 경영이념과 기업문화 = 390

제6장 두산정신의 형성과 두산그룹의 기업문화 = 436

제7장 유한킴벌리의 창업정신과 기업문화 = 493

제8장 신용호의 창업이념과 교보생명보험의 기업문화 = 550

제9장 김승호의 창업정신과 보령문화 = 608

제10장 애경그룹의 기업문화 = 657